사회 사회일반

[2막 오른 신한사태] 검찰 수사도 속도낼듯

금융감독원의 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 중징계 방침 통보로 검찰의 신한 사태 수사가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 사태의 칼자루를 쥔 검찰은 금감원의 라 회장 중징계 통보에 따라 그 동안 초점을 맞췄던 신상훈 신한지주 사장에 대한 배임∙횡령 혐의 뿐 아니라 라 회장과 이백순 신한은행장 등 신한 ‘빅3’ 모두에게 전방위 압박 수사를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 사태를 전담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검사 이중희)는 8일 김형진 부행장을 소환해 라 회장이 이희건 신한 명예회장 자문료 횡령 사건에 직접 관여했는지 여부를 집중 추궁했다. 검찰은 최근 소환한 신한은행 임원의 조사 과정에서 신 사장의 횡령 의혹이 제기된 이 명예회장 자문료 15억여원 가운데 5억원 정도를 라 회장 측이 썼다는 진술을 확보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날 김 부행장에게 자문료 사용처 등을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에 앞서 라 회장이 금융실명제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받을 때 변호사비 2억원을 이 명예회장의 자문료에서 지출하게 했다는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 행장이 라 회장 지시라며 이 명예회장 자문료에서 현금 3억원을 마련하라고 비서실장에게 명령했다는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민주당 조영택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이 명예회장 자문료에서 지출한 3억원이 정권 실세에게 전달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이 행장의 경우 이미 재일교포 주주로부터 5억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은행 감사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 행장은 이 자금이 순수한 기탁금이며 개인 용도로 쓰지 않았고 대여금고에 보관하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노조는 여러 차례 입출금한 내역을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권 실세에게 불법 자금을 전달했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거나 재일교포 자금을 불법적으로 사용한 혐의가 확인되면 이 행장의 검찰 소환 조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라 회장과 이 행장에 대한 수사와는 별도로 마무리 단계에 들어선 신 사장의 배임∙횡령 혐의 수사에도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검찰은 신 사장의 불법 대출 혐의에 관여한 은행 관계자의 조사가 마무리됐다고 보고 신사장에 대한 소환 시기를 저울질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안팎에서 신 사장에 대한 소환 시점은 국정감사가 끝나는 22일 즈음이 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오는 18일 법사위가 대검찰청 국감을 진행하는 만큼 대검 국정감사가 끝난 직후 검찰이 신 사장과 이 행장 등에 대한 줄 소환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금강산랜드 등에서 압수한 자료를 분석하고 신한은행 및 금강산랜드, 투모로그룹 관계자 조사를 통해 자금흐름과 부당대출 여부를 최종 확인한 뒤 피고소인들에 대한 소환 통보가 이뤄질 것"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소환 시점이 정해진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신 사장은 물론 라 회장과 이 행장 등에 대한 각종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만큼 검찰이 확인해야 할 내용이 많아 피고소, 피고발인에 대한 소환 시점이 다음 달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