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변 못참아요" 한국 성인 14%가 과민성 방광

우리나라 성인 10명중 1명 이상이 방광에 소변이 조금만 고여도 화장실이 급해지는 과민성 방광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 화이자제약은 최근 30대 이상 성인 1천명을 상대로 실시한 전화조사 결과14%가 과민성 방광 증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여성(16.5%)과 50대 이상 성인(20%)에서 증상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증상 보유자들의 절반 이상(53.6%)은 과민성 방광이라는 질환을 모른다고 답했으며, 30%는 과민성 방광을 요실금과 같은 병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증상 보유자 중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30%에 불과했으며 이 중 55.3%는증상이 악화된 후에야 병원을 찾은 것으로 드러났다. '과민성 방광'은 중년기 이후에 흔히 나타나는 요실금과는 다른 병이다. 요실금은 골반 근육과 요도 괄약근이 느슨해 소변이 새는 병이지만 과민성 방광은 소변이조금만 고여도 방광 근육이 수축하는 병으로 화장실을 하루 8번 이상 가며, 소변이새기도 해 '과활동성 방광(overactive bladder)'이라고도 부른다. 뚜렷한 한 가지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니고 노화나 신경계 질환, 전립선 비대증등이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증상을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면 소량의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무리한 수축을 반복한 방광 근육이 점점 두껍고 뻣뻣해지기 때문에 증상이 악순환에 들어서게 된다. 성균관의대 제일병원 비뇨기과 서주태 교수는 "과민성 방광은 오래 방치하면 치료가 어려워지고 치료기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자신감이 떨어지고 사회생활도 어려워질 수 있다"며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과민성 방광의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함께 방광훈련, 전기자극치료, 바이오 피드백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 방광훈련은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방광훈련은 일정한 시간마다 소변을 보도록 방광을 연습시키는 것으로 처음에는1시간 간격으로 시작해 보통은 일주일 마다 30분씩 배뇨 간격을 늘려 최종적으로는4시간마다 소변을 보는 습관을 들이면 된다. 중간에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있을때까지 참아 보도록 하며 취침 전과 아침에 일어난 후에는 반드시 화장실에 간다. 더불어 적당한 운동을 하고 과도한 스트레스나 술과 커피 등의 자극적 음식은피하는 것이 좋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