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월요초대석]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 어떻게

주민 직접선택 '맞춤형 보상'…살고싶은 도시 조성에 역점

한국토지공사가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를 기념비적 도시로 개발하기 위한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행복도시 건설사업 단독 시행자인 토지공사는 오는 20일부터 주민보상을 실시한다. 이어 내년 1월 문을 여는 행복도시건설청과 함께 행복도시 밑그림 그리기에도 나선다. 지난달 24일 행복도시건설특별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합헌판결 이후 행복도시 건설 추진이 가시적으로 탄력을 받게 된다. 정부와 토지공사는 내년 11월까지 행복도시 기본계획과 개발계획을 수립한 뒤 2007년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2007년 또는 2008년 부지조성공사에 돌입해 2012년부터는 행정기관 및 주민입주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토지공사는 원활한 행복도시 보상을 위해 수요자인 주민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보상개념’을 도입한다. 우선 원주민들에게 공급하는 이주자택지를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아파트, 블록형 집단 주택지, 주거전용 단독주택지 등 다양한 면적과 형태를 메뉴로 제시할 예정이다. 이는 지금까지 획일적으로 동일 평형의 점포겸용 단독주택지를 공급하는 방식에서 탈피하는 것이다. 원주민들의 정착을 돕기 위해 6~8평의 상가용지만을 공급하던 생활대책도 주민들이 희망할 경우 상가 자체를 건축,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부재지주에게 보상금을 현금 대신 채권으로 지급하고 현지인이 보상금을 현금으로 수령하지 않고 사업시행자에 예치하면 상가용지 등의 입찰 때 우대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토지공사는 또 행복도시를 인간 중심의 질적 개발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역점을 두기로 했다. 토지공사는 이를 위해 행복도시를 국가균형발전의 구심점이 되는 행정기능 중심의 ‘자족도시’,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쾌적한 ‘친환경도시’, 편리성과 안전성을 함께 갖춘 ‘인간중심도시’, 문화와 첨단기술이 조화되는 ‘문화ㆍ정보도시’로 개발할 계획이다. 토지공사는 이 같은 도시의 기본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해 생태도시ㆍ유비쿼터스도시ㆍ문화도시 외에 장애인 및 노인, 임산부 등 교통 약자들이 도시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장벽 없는 도시’를 새로운 개념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