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산업은행 CEO 선임, 당국 시각차

재정부 "관료 출신 가능하다" <br>금융위 "민간 전문가 확정적"

산업은행 CEO 선임, 당국 시각차 재정부 "관료출신 가능하다"금융위 "민간 전문가 확정적" 이종배 기자 ljb@sed.co.kr "산업은행 CEO로 관료 출신이 선임될 수 있다."(기획재정부) "민영화 등을 감안할 때 후임 CEO는 민간 출신을 우선 고려할 것이다."(금융위원회) 민영화가 추진될 산업은행 후임 CEO 선임을 놓고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가 미묘한 시각차이를 보이고 있다. 금융위는 민간전문가 출신 기용을 염두에 두고 있는 반면 재정부는 관료 가능성에 적잖은 무게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재정부는 특히 민간 출신 CEO 영입 대상 90여개 공공기관을 확정하면서 산업은행을 제외해 관료 출신 선임의 길을 열어놓았다. 이와 관련,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 CEO는 관료 출신이 선임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민영화 논의 결과에 따라 어떤 인물이 적합한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위는 산업은행 CEO로 민간 출신을 임용할 것임을 수차례 표명해왔다. 전광우 위원장은 "(관료라고 배제하지 않겠지만) 금융 공기업의 경우 관료 출신 수장들이 오랜 기간 재임하면서 폐해를 유발했다"며 "가능한 역량 있는 민간인들이 CEO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고 밝혔었다. 또 금융위는 산은 민영화 과정에서 더 높은 가격을 받기 위해서라도 해외 IB의 인정을 받는 전문가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산은 후임 총재로 관 출신 임용은) 가능성이 매우 낮다. 민 출신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후임 CEO의 경우 이르면 1~2주 이내에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재정부는 이날 90여개 주요 공공기관 기관장에 관료가 원칙적으로 배제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재정부 관계자는 9일 "90여개 공공기관 기관장의 경우 관료가 완전히 배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렇지 않다"면서 "진정한 의미의 공모제를 실시해 가장 적합하고 능력 있는 인물을 선임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6일 배국환 재정부 차관이 브리핑을 통해 "90여개 기관장에는 민간전문가를 선임하겠다"고 밝힌 것과는 상당히 차이를 보이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