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코오롱 사태 대화로 풀어야

민병권 기자<산업부>

인력구조조정을 둘러싼 ㈜코오롱의 노사갈등이 폭로전 양상으로 비화되는 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가 최근 ‘고용안정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인력주조조정을 논의하자고 사측에 제의했지만 의견조율이 되지 않자 이웅열 회장에 대한 퇴진요구와 경영 관련 의혹들을 제기하며 철야농성에 돌입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구조조정은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며 인력감축 강행의사를 밝히고 있다. 또 휴가신청을 통해 농성에 참가한 노조원은 무단결근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우는 등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사실 코오롱의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사측뿐 아니라 노조 일각에서도 그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있다. 코오롱은 올들어 지난 3ㆍ4분기까지 당기순익 279억원 적자를 기록, 전년 동기(65억원 적자)보다 경영실적이 더욱 악화됐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지난 6~8월 100일 이상의 파업을 감행해 240억원대의 손실을 냈던 노조의 책임도 적지 않다. 그렇다면 왜 노조가 이토록 반발하는 것일까. 이는 경영난의 책임을 얼마나 공평하게 분담하느냐의 문제를 놓고 노사간에 해석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측은 지난달 말 임원의 23%를 감원하는 초유의 인사를 단행했다. 또 코오롱캐피탈 임원의 473억원 횡령사건에 따른 피해손실에 대해 이웅열 회장이 43억원을 출자하는 등 경영난에 대해 책임을 졌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노조의 해석은 다르다. 코오롱캐피탈은 코오롱그룹의 이윤을 빼돌리는 위장계열사라는 격한 표현을 써가며 캐피털 횡령사건의 부담을 코오롱(251억원)ㆍ코오롱건설(68억원)ㆍ코오롱제약(58억원)ㆍ코오롱글로텍(53억원) 등이 부담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주장이다. 한마디로 총수가 경영난의 책임을 더 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외부에서 보기에 이 같은 논리공방은 구조조정 실행과정에서 서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한 명분싸움에 불과하다는 느낌이다. 서로 대화와 교섭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상대방 흠집내기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단 중요한 것은 노사간 교섭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사측은 노조가 요청한 위원회 구성에 응하고 대화에 나설 필요가 있다. 또 노조 역시 대안 없이 총재의 퇴진요구와 같은 벼랑 끝 전술로 갈등을 심화하는 자세에서 벗어나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