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비구조 악화… 저성장 부를수도"

소비고급화 추세로 해외지출 갈수록 증가

“국민들의 소비 고급화 욕구를 따라잡지 못할 경우 저성장 시대가 앞당겨질 것이다.” 골프관광 출국자 수가 연간 50만명에 이르고 해외의료서비스를 찾아 국외로 빠져나간 돈이 1조원에 달하는 등 국내에서 욕구를 해결하지 못한 국민들의 해외 소비지출이 갈수록 늘고 있다. 한국은행이 31일 국민경제자문회의에 보고한 ‘소비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대응 방향’에 따르면 지난 2000~2004년 중 국내소비는 평균 2.7% 증가에 그친 반면 해외소비는 평균 18.2%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소비에서 해외소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80년 0.4%에서 90년 1.6%, 2000년 2.0%에 이어 지난해 2.9% 등으로 빠르게 상승했다. 이는 미국ㆍ일본 등의 해외소비 비중(1%대)보다 높은 수준이다. 소득의 양극화 현상은 소비의 고급화를 심화시켜 지난해 백화점 총매출은 전년 대비 3.0% 감소한 반면 명품매출은 1.0% 증가했다. 특히 해외유학ㆍ연수생이 크게 늘면서 가계의 총 교육비 지출에서 해외교육비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10%선(71억달러 내외)에 올라섰다. 한은은 “소비의 고급화 추세를 국내생산으로 충족하지 못할 경우 국내 소득증가가 국내 소비보다는 해외소비 증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경우 ‘소비증가→생산ㆍ고용증가→소득증가→소비증가’의 선순환 구조를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해외소비 수요를 국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국내 교육, 의료레저ㆍ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노후생활의 불안감 해소와 저소득 취약계층의 소득능력 확충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