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유전자 검사로 위암 가능성 예측"

한국인 유전자 배열과 위암의 상관관계 풀려<br>장영운 경희의료원교수 연구 결과

"유전자 검사로 위암 가능성 예측" 한국인 유전자 배열과 위암의 상관관계 풀려장영운 경희의료원교수 연구 결과 국내 대학병원 교수가 유전자와 위암과의 상관관계를 풀어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위암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 경희의료원 장영운(소화기내과) 교수는 “2000년 10월부터 2003년 3월까지 경희의료원에 내원한 위암환자 234명과 434명의 단순 소화불량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그 동안 아시아권에서는 증명해내지 못했던 인터루킨-1-베타 유전자가 위암발생과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최근 국제암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에 실렸다. 한국인의 유전자와 위암과의 상관관계가 풀려 관련검사법을 통해 위암 발생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의료진이 위암검진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장 교수의 연구결과가 관심을 끄는 것은 서구인과 우리나라 사람의 염기서열이 정반대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기존에 발표된 서구의 이론에서는 인터루킨-1-베타 유전자에는 사람마다 염기서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실제 서구인에서는 인터루킨-1-베타 유전자가 만들어지는 부위로부터 위쪽 511번째 되는 곳의 DNA 염기서열이 T인 사람이거나 31번째의 염기서열이 C인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위암 발생률이 높다. 그러나 이번 장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인터루킨-1-베타 유전자가 만들어지는 부위로부터 위쪽 511번째 되는 곳의 DNA 염기서열이 C인 사람이거나 31번째의 염기서열이 T인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다른 형태의 유전자보다 위암에 걸릴 수 있는 위험률이 2.2배의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인터루킨-1-베타 유전자는 헬리코박터와 같은 감염이 있는 경우 위점막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싸이토카인).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증폭시키며 위산분비를 지나치게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위암의 발생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염증반응과 위산분비가 거의 안 되는 저위산증이다. 그런데 31번째 염기서열이 T인 사람은 인터루킨-1-베타 단백질이 위 점막에서 많이 생산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위암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유전자라고 할 수 있다. 박상영 의학전문기자 sane@sed.co.kr 입력시간 : 2004-12-13 19:1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