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일자리전망 밝은학과 특수교육과 1위

앞으로 일자리 전망이 가장 밝은 학과는 특수교육학과라는 조사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있다. 이와 함께 근로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01년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직업 520개에 종사하는 사람 3만1,7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향후 일자리 전망이 가장 밝은 `장미빛`학과는 특수교육학과로 조사됐다. 졸업 후 특수학교 교사로 진출할 수 있는 특수교육학과는 5점 만점에 3.96점을 받아 수위를 차지했고 간호학과(간호사ㆍ구급요원)와 응용예술학과(분장사), 의료(의사ㆍ한의사ㆍ약사ㆍ의약계열 교수) 등이 그 뒤를 따랐다. 다음으로 컴퓨터ㆍ통신, 법률, 유아교육, 연극영화, 치료ㆍ보건, 수학ㆍ물리학과등도 `톱 10`에 들어갔다. 또 우리나라 근로자의 연봉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은 학력(12.7%)과 경력(11.9%), 성별(3.4%), 근무업체 규모(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평균 연봉은 대학원 졸업 이상이 3,60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교 졸업자(2,840만원)가 그 다음이었다. 그러나 전문대 졸업자(2,090만원)와 고등학교 졸업자(2,088만원)의 임금격차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학교 졸업 이하는 1,672만원에 불과했다. 10년 이상 근무한 사람은 평균 3,119만원의 연봉을 받았으며 5∼10년 경력자와 5년 미만 경력자는 각각 연간 2,653만원과 2,073만원의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를 잘하기 위해 가장 많은 경력이 요구되는 직업은 프로바둑기사, 의약계열 교수, 외과의사, 지휘자, 양장ㆍ양복사, 작곡가, 점술가 등 민족종교 종사자, 운동경기 감독 및 코치, 안과의사, 성직자 등의 차례로 응답했다. 우리나라에서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직업은 경비원(61.23세)이었고 과수작물재배자(61.07세), 소설가(57.8세), 채소특용작물 재배자(57.55세), 초등학교 교장ㆍ교감(56.50세)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직장인은 가장 중요한 업무수행 능력으로 대인관계(5점 만점에 3.21점)를 꼽았고 다음은 기초능력(3.12점), 관리능력(2.66점), 신체능력(2.61점), 기술능력(2.57점) 순으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용호 기자 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