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건설, 신바람을 일으키자] <3> 금융이 관건이다

자금조달 능력 '필수조건' 부상‥설계ㆍ시공기술등 국가간 격차 갈수록 줄어<br>국제금융·프로젝트 관리등이 경쟁력 좌우..국내업체 대부분 도급형태…정부지원 절실



[해외건설, 신바람을 일으키자] 금융이 관건이다 자금조달 능력 '필수조건' 부상‥설계ㆍ시공기술등 국가간 격차 갈수록 줄어국제금융·프로젝트 관리등이 경쟁력 좌우..국내업체 대부분 도급형태…정부지원 절실 • 금융능력 키우려면 • 1부 : 해외건설 활로가 뚫린다 오일 달러가 움직인다 제2의 엘도라도가 뜬다 용어 설명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 사업에 원조 차원의 장기저리 차관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 87년 설립된 기금이다. 산업설비 및 기자재 구입, 건설자금을 경제협력 차관 형태로 지원한다. 수출입은행이 위탁 시행한다. 금리는 보통 연 2.5~3% 수준으로 일반 상업차관보다 낮게 제공된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대형 건설공사 등 특정 프로젝트의 개발업자가 사업비 조달을 위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이 아닌 프로젝트 자체에서 창출되는 수익을 담보로 투자자들로부터 자본을 조달하는 금융기법이다. 융자 규모가 수억 달러를 넘고 장기간 자금이 들어가 국내외 금융기관의 협조융자 형태가 많다. ◇연불수출금융(延拂輸出金融)= 대규모 플랜트, 설비 등을 수출할 때 일정 부분 선수금을 받고 수년간 제품을 만든 후 대금은 제품 인도 후 일정기간 나눠서 받는 연불수출을 지원하는 금융이다. 공사 및 제작 기간이 길고 고가제품 수출에 따른 업체 자금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수출입은행이 지원한다. ◇외화 가득률(外貨稼得率)= 수출상품 가격에서 외국에서 필요한 부품, 기자재 등을 사느라 지불한 비용을 빼고 실제 어느 정도 외화를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외화 가득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부가가치가 높음을 의미한다. 국내 굴지의 건설업체인 A사는 최근 수주한 터키의 플랜트 설비 관련 본 계약이 마무리되는 대로 수출입은행의 자금지원을 받아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 공사는 스페인 건설업체와 컨소시엄을 이뤄 따낸 것으로 A사가 전체 공사금액 3억 달러 가운데 1억 달러 정도를 담당할 예정이다. 수출입은행이 터키 발주처에 자금을 빌려주면 발주처는 이를 바탕으로 A사의 공사를 진행토록 하는 방식이다. 사실상 수출입은행과 건설업체간 공조를 통해 공사가 이뤄지는 셈이다. 이처럼 최근 들어 해당 국가나 금융기관의 자금지원을 등에 업고 해외건설에 나서는 건설업체가 늘고 있으며, 이는 건설업체 대외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자금조달 능력, 해외건설 수주 좌우= 해외건설 전문가들은 해외건설시장의 틀이 과거와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 동안 핵심 경쟁력으로 평가 받아온 설계, 시공기술은 이제 국가간 격차가 크게 줄어 들었다. 대신 국제 금융, 프로젝트 관리, 사업성 분석 등 시공 외 요소들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해외 진출업체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발주처의 요구에 따라 대응이 가능한 자금공급 능력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의 이복남 선임연구위원은 “특히 동남아, 중동, 남미 등 공사 발주 국가들의 정부 주도형 사업이 외환위기 이후 격감하면서 입찰 업체 스스로 자금조달을 주선할 수 있는 능력이 필수조건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국제 금융의 전문성을 가진 건설업체의 시장 지배력이 갈수록 커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부 자금지원 선진국에 못 미쳐=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건설 수주 형태는 도급이 대부분이다. 시공사가 직접 자금조달을 하거나 민간투자 방식인 개발형 수주는 전체 수주 물량의 10% 안팎에 불과하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0년 한 해 수주액 가운데 도급이 97.3%를 차지한데 반해 시공사 금융조달은 2.4%, 개발형 역시 0.3%에 불과했다. 2001년에는 아예 모두 도급이었으며, 2002년에는 시공사 금융조달과 개발형 수주가 11.7%에 그쳤다. 수주 확대를 위해 개발 잠재력이 높은 개발도상국에 지원되는 장기 저리 차관 형태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도 국내 건설업체들에게는 미흡한 상황이다. EDCF는 지난 5월 말 현재 1조9,772억원(19억4,500만 달러)의 기금이 조성됐지만 연간 기금 운용액은 2억 달러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는 일본 국제협력은행(JBIC) 운용 규모의 50분 1에 불과한 수준이다. 대우건설 김원호 차장은 “현재 해외로 진출하는 국내 건설업체들은 EDCF와 같은 공적 개발차관 이외에 수출입은행을 통한 자금조달 방식으로 수주 확대에 나서고 있다”며“하지만 금리 등 유상 원조 조건이 좀더 나은 EDCF가 개도국 진출에 유리한 만큼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EDCF의 금리는 지원 대상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연 2.5~3%선으로 일반 상업차관의 절반 수준이며, 융자 조건도 5~10년 거치에 평균 20년, 최장 30년 상환으로 유리하다. ◇해외건설 지원 확대 절실= 정부는 지난 2001년 이후 중동지역 중심의 플랜트 건설공사 수주 확대를 위해 금융 지원을 강화하는 대책을 잇따라 내놓았다. 건설교통부는 수출입은행의 지원 대상을 늘리기 위해 대상 요건 중 외화 가득률을 기존의 30%서 25%로 하향 조정했으며, 산업자원부도 사업 타당성 조사 비용의 절반을 국가가 부담하도록 개선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부수적인 지원 확대보다 자금 규모의 증대가 더 중요하다는 게 건설업계의 지적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의 김민형 책임연구위원은 “플랜트 등 공사 규모가 대형화되면서 시공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 발주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자금 지원은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해외시장에서 수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력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4-08-06 17:4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