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울산 타임오프제 도입률 전국평균 밑돌아

46% 불과… '강경 노선' 금속노조 산하 사업장 많아 정착 난항

우리나라 산업을 대표하는 울산지역 주요 사업장의 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제) 도입률이 전국평균에 비해 훨씬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울산에 강경 노선을 걷고 있는 금속노조 산하 사업장이 많기 때문으로 울산 지역에 타임오프제가 정착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3일 울산고용노동지청에 따르면 타임오프제 시행 한 달이 되는 7월31일 현재 임금 및 단체협상이 만료된 울산지역 100인 이상 사업장(37곳) 가운데 타임오프제에 합의한 사업장은 46%(17곳)에 불과했다. 이는 전국 100인 이상 사업장(1,350곳) 가운데 타임오프제를 적용하기로 한 64%(865곳)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다.


울산지역의 100인 이상 사업장은 총 37곳으로 민주노총 소속 사업장이 13곳, 한국노총 소속 사업장이 19곳, 미가입 사업장이 6곳이다. 타임오프제에 합의한 사업장은 민주노총 사업장 1곳, 한국노총 사업장 11곳, 미가입 사업장 5곳으로 집계됐다. 타임오프제에 합의하지 않은 지역 사업장은 모두 20곳이다.

관련기사



울산지역의 타임오프 도입률이 저조한 것은 상당수 사업장이 타임오프 도입에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금속노조 산하 사업장이기 때문이다. 민노총 소속 사업장 13곳 가운데 9곳이 강경 노선인 금속노조 소속 사업장이다. 울산지역에서 민노총 산하 사업장으로 타임오프제 도입을 수용한 곳은 사무ㆍ금융 사업장 단 1곳뿐이다. 이는 전국 민노총 사업장(456곳) 가운데 타임오프제 도입에 합의한 사업장이 50.2%(229곳)에 달하는 것과 비교해도 차이가 크다.

울산고용청도 이 같은 점을 인정하고 있다. 울산고용청 관계자는 "울산지역에는 금속노조 소속 사업장이 많은데 금속노조가 타임오프제 반대를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도입을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 전임자수 축소 문제가 관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 사업장의 노사 공히 타임오프제 합의사실 공개를 기피하는 것을 감안할 때 실제 도입률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사업장에서는 실제로 노사가 합의하고도 금속노조가 반대 투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공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