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들은 아직까지 중국기업들보다 기술 우위지만 최근 중국업체들의 기술추격이 본격화되면서 그 격차가 좁혀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300개 제조업체(응답기업 275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기술추격과 업계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94.5%는 중국의 동종 경쟁업체에 비해 전반적인 기술수준이 우위에 있다고 응답했다고 31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기업들은 우리 기술수준이 중국 경쟁업체에 비해 평균 4.6년 앞서있다고 평가했다.
업종별로는 조선(5.8년)과 자동차(5.3년) 등의 업종이 기술격차가 큰 반면 전자(3.3년)는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었다 부문별로는 ‘신제품개발기술’ 격차가 5.2년인 반면 ‘생산기술’은 4.2년으로격차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최근 기술발전 속도에 대해서는, 중국 경쟁업체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다는 응답이 86.6%에 달해, 기업들은 중국업체와의 기술격차가 상당히 좁혀지고 있는것으로 평가했다.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경우 중국업체의 기술발전 속도가 더 빠르다고 응답한비율이 87.8%로 대기업(82.6%)보다 많았으며, 업종별로는 섬유(97.6%)와 조선(92.1%)에서 이러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 이유에 대해, 기업들은 ‘국내기업의 중국진출 과정에서의 기술유출(34.6%)’을 가장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전자업종의 경우 무려 63.5%가 이 때문이라고 답해 산업보안.기술유출 방지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중국업체의 기술개발 및 선진기술 확보노력(32.4%)’, ‘중국정부의 과학.기술 중심정책 추진(25.8%)’ 등이 기술격차가 줄어드는 주된 요인들로 꼽혔다.
중국의 기술추격 심화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했다’는 응답은23.3%에 불과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마땅한 대책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43.2%에 달했다.
대책을 마련한 기업들이 꼽은 구체적인 대응방안으로는 '자체적인 기술개발 노력’이 69.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핵심기술인력 확보(13.2%)’, ‘기술유출 방지(12.0%)’ 등의 순이었다.
중국의 기술추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기업들은 ‘기초연구.원천기술 등국가차원의 R&D확대(27.3%)’, ‘자금.세제 등 기업지원 확대(27.3%)’를 가장 많이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