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승론 금리 37%까지 낮아져

이용조건 까다로워 신청자 절반만 대출 승인

고금리 대부업체 대출을 금리가 낮은 제도권 금융회사 대출로 바꿔주는 환승론의 평균 대출금리가 연44%에서 37%대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환승론 이용조건이 까다로워 신청자의 절반만이 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다 환승론을 미끼로 내세우는 범죄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의 환승론 대출금리를 분석한 결과 평균 대출금리가 6월에는 44.7%에 달했으나 8월은 39.9%, 10월에는 37.1%로 5개월 만에 7.6%포인트나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환승론을 신청한 고객은 총 1,375명으로 이 가운데 46%(632명)에 대해 대출 승인이 이뤄졌다. 환승론을 이용해 대부업체 대출을 제도권 금융회사로 옮긴 경우는 총 1,087건, 30억원으로 대상자들은 대출금리를 평균 65.7%에서 41%로 25%포인트가량 낮췄다. 하지만 환승론은 ‘그림의 떡’이라는 불만도 만만치 않다. 4월 재정경제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등록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고객은 140만명, 총 8조원에 이르지만 올 6월부터 5개월 동안 환승론 이용 고객은 632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는 환승론에 참여하고 있는 저축은행과 캐피털사들이 까다로운 대출심사 조건을 내세우면서 장벽을 높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최근에는 환승론 알선기관을 사칭, 고금리를 저금리로 전환해주겠다고 속이고 대부업체로 대출을 이전시키거나 상담을 미끼로 대출액의 10%를 수수료로 챙기는 등 불법적인 환승론 브로커까지 등장하고 잇다. 금감원은 “환승론 브로커 등 서민금융의 피해를 막기 위해 홍보를 강화하고 신용이 낮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틈새상품 개발을 유도하겠다”며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용절차도 계속 개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