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준공업지역 "산업기반 유지한채 개발"

市 "아파트 허용 대신 아파트형 공장 건립도 함께"

서울 준공업지역 "산업기반 유지한채 개발" 市 "아파트 허용 대신 아파트형 공장 건립도 함께" 고광본 기자 kbgo@sed.co.kr 서울시가 주택과 공장ㆍ상업시설이 혼재된 준공업지역에 아파트 건설을 허용하는 대신 아파트형 공장도 함께 건설해 개발이익을 일정 부분 환수하기로 했다. 대규모 공장 이전부지도 산업기반을 일정 부분 유지한 채 복합개발을 허용할 방침이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26일 "준공업지에 아파트 개발을 대폭 허용하자는 시의회 측을 설득해 준공업지 일대를 산업ㆍ주거ㆍ문화공간으로 재편할 수 있게 오는 30일 합의해 7월9일 조례를 개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지난 5월 초 시의회가 준공업지 공장부지의 30% 이내에만 산업시설을 지으면 나머지는 아파트를 전면 허용하겠다는 조례개정을 추진하자 제조업 기반 상실, 부동산 값 상승, 기업특혜 우려를 들어 강력 반대했으나 결국 시의회 주장을 일부 채택해 준공업지 개발을 촉진하기로 했다. 준공업지는 구로ㆍ영등포ㆍ금천ㆍ강서구 등 8개구에 시 면적의 4.6%(27.73㎢)가 지정돼 있다. 현재도 아파트와 호텔을 제외하고는 건축이 허용되나 총 94개의 블록(간선도로ㆍ하천 따라 20만㎡ 단위로 구분)당 공장 면적이 30% 이상인 곳은 아파트 건축이 불허되는 반면 10% 이내면 용적률 250% 내에서 허용되고 있다. 만약 10~30%이면 블록 내 각각의 사업구역에서 공장면적이 절반을 넘으면 아파트를 짓지 못하고 그 이내면 용적률 250% 내에서 건축할 수 있다. 시는 앞으로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해 준공업지를 산업ㆍ주거ㆍ문화공간으로 재편하고 대규모 공장 이전부지에도 복합개발을 허용하되 산업기반을 일정 부분 유지할 방침이다. 또 디지털콘텐츠 콤플렉스나 게임ㆍ멀티미디어클러스터 등 지식ㆍ창조ㆍ문화산업의 인큐베이터 기능도 맡길 계획이다. 특히 사업시행자로부터 일부 땅을 기부채납받아 아파트형 공장을 지어 중소기업에 저렴하게 장기임대할 계획으로 일단 2015년까지 2,000억원을 들여 2~4개 단지에 192개사를 입주시키고 수요가 많으면 확대하기로 했다. 한편 준공업지 일대가 개발되면 많은 영세 임대공장들이 점차 서울 밖으로 밀려나게 될 것으로 보여 진통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