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월요초대석] 주식회사 정보통신부

"차세대 성장산업 육성" 핵심목표로 공공조직에 민간경영기법 도입

서울 광화문 정보통신부 청사 사무실에는 과거 각 실ㆍ국간을 가로막고 있던 벽이 없다. 실ㆍ국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확 트인 공간 속에서 일한다. 마치 민간기업 사무실을 방문한 듯한 느낌이다. 정통부는 참여정부 출범 이후 조직 형식이나 업무 등에서 가장 크게 변한 부처로 꼽힌다. 그리고 이는 국내 최고의 기업으로 불리는 삼성전자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진대제 장관의 취임 때부터 예상된 변화였다. 그는 장관 취임 후 정통부를 ‘주식회사 정보통신부’로 부른다. 공공조직에 ‘6시그마’ 등 민간 경영기법을 도입했는가 하면 ‘정책관리시스템(GPLCs)’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GPLCs란 정책의 입안부터 집행 및 평가에 이르는 전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각 실ㆍ국의 정책수립은 물론 집행ㆍ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는 것이다. 예컨대 휴대인터넷 관련 정책을 수립할 경우 최종적인 정책 결과물뿐 아니라 이를 위한 각종 회의내용, 각 실ㆍ국별 추진현황 등이 모두 일목요연하게 DB로 구축되는 것이다. 업무 담당자가 바뀌더라도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그간의 추진과정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업무파악에 드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외형적 업무시스템 변화보다 더욱 중요한 변화는 정통부가 지향하는 정책 목표다. 과거 통신사업 감독ㆍ규제기관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차세대 성장산업 육성을 부처의 핵심 목표로 삼았다. 이는 취임 초기부터 스스로의 역할을 “5~10년 후 한국경제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이라고 강조한 그의 의지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조직개편으로 ‘정보통신전략기획관’ ‘동향분석담당관’이라는 정부부처에서는 다소 생소한 직제를 만들었는가 하면 최근에는 실ㆍ국장을 대상으로 CEO미션제도를 도입하고 목표관리제(MBO)도 현재 4급 이상에서 5급 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진 장관은 “이제 정부도 사람이 아닌 조직ㆍ시스템이 중심이 돼야 한다”며 “이를 통해 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수립과 추진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