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새 1만원권 위폐 '주의보'

올들어 16장 발견 경찰 수사중…진폐-위폐 이어붙여<br>한은 "뭉칫돈 일땐 구분 쉽잖아"

최근 새 1만원권 위조지폐가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29일 위폐 일부분과 진폐 일부분을 이어 붙여 만든 새로운 유형의 새 1만원권 위조지폐 16장이 금융기관 및 한은의 화폐 정리 과정에서 발견돼 경찰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 위조지폐는 앞면의 3분의1 정도는 위폐이며 세종대왕 초상이 있는 나머지 3분의2는 진폐로 두 개 조각을 반투명 테이프로 이어 붙인 게 특징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위조지폐의 일련번호는 왼쪽과 오른쪽이 일치하지 않고 한쪽 일련번호가 ‘AK1441861J’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홀로그램도 절반은 반투명 테이프로 가려져 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조잡하지만 돈뭉치에 섞여 있을 경우 한쪽 부분은 진폐이기 때문에 돈을 셀 때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며 “여러 조각이 합쳐진 지폐의 경우 홀로그램 등 위조방지 장치를 면밀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발견된 전체 위폐 수는 1만5,678장으로 전년(2만1,939장)에 비해 6,261장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만원권 위폐는 8,438장, 5,000원권은 6,631장, 1,000원권은 609장이 각각 발견됐으며 발견된 위폐는 대부분 옛 은행권이다. 이중 새 은행권 위폐는 총 487장이며 1만원권은 304장, 5,000원권은 170장, 1,000원권은 13장 등이다. 한은은 위조 여부가 의심스러울 경우 한은 인터넷 홈페이지(www.bok.or.kr)의 위폐 검색창을 이용하면 동일한 번호의 위폐가 과거에 발견됐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