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벤처 P-CBO 관리 깐깐해진다

기보, 원리금 회수·사후관리등 강화나서

벤처 P-CBO 관리 깐깐해진다 기보, 원리금 회수·사후관리등 강화나서 임웅재 기자 jaelim@sed.co.kr 관련기사 • "감사결과 수용하지만 정책실패론 볼수없어"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 지원을 받아 지난 2001년 2조원이 넘는 벤처 프라이머리 CBO를 발행했던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금 상환 사전ㆍ사후관리가 강화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 1년 만기 대출보증으로 전환해준 7,550억원(367개사) 가운데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5,377억원(323개사)의 원리금 회수율이 다소 높아지겠지만 일부 중소기업들은 자금난이 심화될 전망이다. 기보는 감사원의 지적에 따라 지난 5월부터 만기 도래하는 대출 보증액을 모두 갚지 못하는 기업에 대해 상환약정 체결을 전제로 1년간 만기를 재연장해주고 상환비율이 30%를 밑도는 기업의 대표이사ㆍ최대주주 보유 주식이나 사업장 등 부동산을 담보로 잡고 있다. 이에 따라 5월 중 만기 도래한 975억원(47개 업체) 가운데 211억원(약 21%)이 상환돼 상환비율이 10%를 밑돌던 과거보다 회수실적이 좋아졌다. 5개 업체는 모두 갚았고 42개 업체는 764억원을 1년간 상환연장을 받았다. 기보 관계자는 "비상장사의 경우 주식 담보취득의 실익이 크지는 않지만 제3자에 매각할 경우 경영권에 변동이 생길 수도 있어 압박감을 느끼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감사원의 지적사항 중에는 비현실적이거나 형식논리에 치우친 경우도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기보의 한 관계자는 "감사원의 경우 계좌추적권을 활용해 CBO 발행자금 유용 혐의 등을 잡아냈지만 기보나 사후관리를 위탁 받은 자산운용회사가 이를 알아내기는 힘들다"며 "기보도 보증(대출)을 분할 집행하는 등 최소한의 조치는 취했다"고 하소연했다. 다만 "자금유용 등을 막기 위해 자금집행 관련 증빙서류를 받는 등 사후관리를 소홀히 한 책임은 있다"고 시인했다. 상장사에 CBO 보증을 서거나 CBO 보증한도를 300억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바람에 사고금액이 커졌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BBB 등급(보증한도 300억원) 업체에 실제 보증 지원한 금액은 80억원 수준에 그쳤다"며 '부풀리기식 감사결과' 발표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입력시간 : 2005/06/21 18:4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