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VGX인터, 美 FDAㆍNIH 자문위원 사외이사 선임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FDA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DNA백신 분야 세계적 권위자가 국내 바이오 벤처의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VGX인터내셔널은 18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DNA백신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데이비드 와이너(David B. Weiner) 펜실베니아의대 교수와 사내임원들을 등기이사로 선임했다.

와이너 교수는 현재 펜실베니아 의대 병리학과 교수이자 동대학의 유전자치료 및 백신 프로그램 의장이다. 또한 와이너 박사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국립보건원(NIH)의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네이처 등의 주류 과학저널에 3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왔으며, 미국 과학정보연구원(ISI)이 선정한 전세계 최상위 수준의 과학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


데이비드 와이너 박사는 VGX인터내셔널의 신약개발 전략, 연구기획, 국내외 임상 등 신약개발 사업 전반에 참여하게 된다. 특히 와이너 박사는 고려대 안암병원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임상1상에 진입하게 되는 아시아 첫 조류독감 DNA백신과 현재 전임상 단계인 유니버설 플루 DNA백신 개발에도 직접 관여하게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VGX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와이너 박사가 아태 지역의 유병률이 높은 인플루엔자 질환에 대한 새로운 DNA백신 개발에 있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국내 병원과 대학 등과의 연구개발 확대를 통해 DNA백신 신약개발을 더욱 확대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와이너 박사는 “한국은 아시아 지역의 DNA백신 개발 전략국가로 연구개발 잠재력과 기술혁신에 대한 기대가 높다”며 “향후 아태 지역에서 유병률이 높은 질환에 대한 DNA백신 신약개발을 가속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인플루엔자는 언제든 치명적인 변종으로 변이가 가능한 잠재력을 갖고 있지만 기존의 백신은 생산속도, 교차방어능력 등에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새로운 DNA백신은 기존 백신의 한계들을 상당부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VGX인터내셔널은 임시주총을 통해 조병문 전무이사와 박종덕 이사를 새로운 등기 이사로 선임했다. 조병문 전무이사는 VGX인터내셔널의 전신인 동일패브릭 영업본부장을 거쳐 현재 VGX인터내셔널의 국내사업부 총괄 및 휴스턴 소재 CMO의 재무책임을 맡고 있으며, 박종덕 이사는 노바티스, 바이엘쉐링 등의 다국적제약사에서 마케팅과 사업개발 부문 책임자를 거쳐 현재 신약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