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설연휴 민심의 소리 잘 들어라

설 연휴가 사실상 이미 시작돼 고향을 찾는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연휴가 최장 9일간에 이를 만큼 긴 탓인지 지난해 설이나 추석 때보다는 귀성객들의 표정에 다소 여유가 있어 보인다. 오랜만에 만나는 부모님과 친척ㆍ이웃들과 같이 보낼 시간이 긴 만큼 많은 이야기들이 오갈 것이다. 으뜸가는 화제는 역시 ‘먹고 사는’ 문제가 아닐까 싶다. 경제난으로 고단한 날을 보내고 있는 탓이다. 특히 취업난으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고향길을 포기한 청년실업자나 그런 자식을 그저 바라봐야만 하는 어른들로서는 경제회복이야말로 무엇보다 절실한 기다림이 아닐 수 없다. 여야 의원을 비롯한 정치권 인사들도 지역구로 내려가 귀향활동을 하게 될 것이다. 지역구민들을 만나 지역숙원사업 해결 등 자신의 의정활동을 뽐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칭찬보다는 비판이 더 많을 게 틀림없다. 험한 욕을 들을지도 모른다. 국민들이 절실히 원하는 경제회생을 위해 정치권이 한 일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설에도, 추석에도 의원들은 여야 할 것 없이 흉흉한 민심을 직접 보고 듣고 느꼈다. 장사가 안돼 죽을 판인데 싸움질만 하느냐는 질타로 주민 만나기가 겁날 정도였다는 게 의원들의 한결같은 소감이었다. 그래서 민생과 경제회복을 다시 다짐했다. 그러나 달라진 게 없었다. 말과는 달리 행동은 정치와 이념 우선이었고 살벌한 정쟁만을 보여주지 않았는가. 그러니 이번 명절에도 주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을 게 뻔하다. 지금 정치인들의 신뢰는 땅에 떨어졌다. 얼마 전 의원들이 각막기증식을 하면서 한 의원이 ‘정치인의 장기를 받을 사람이 있을까’라고 자조적인 말을 했다고 한다. 농담이었겠지만 의원들 스스로가 국민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잘 알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 정치가 경제의 발목을 잡아 지탄의 대상이 돼서는 안된다. 부디 이번에는 민생의 소리를 한귀로 듣고 다른 귀로 흘리지 말기 바란다. 민심을 제대로 반영해 2월 국회를 생산적으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모처럼 고개를 든 경기회복의 싹을 키워나갈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