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계 취업 “정보부터 챙겨라”

수시 채용많아 기업 홈페이지 자주 방문을<br>인턴십 활용 큰도움… 외국어 실력은 기본


외국계 기업들은 소규모 수시채용 방식으로 주로 경력직 사원들을 선발해왔지만 최근에는 신입사원을 직접 채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외국계 기업에 신입 사원들이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채용인원이 많지 않은 반면 외국계 기업 취업을 노리는 구직자가 적지 않아, 취업관문을 뚫기가 만만치 않다. 인기 기업의 경우 입사경쟁률이 수백 대 일에 달할 정도다. 인크루트의 도움으로 외국계 기업에 입사하기 위한 노하우를 알아보자. ◇정보획득이 관건=외국계 기업에 취업하려면 자신의 능력 못지 않게 채용정보 획득이 중요하다. 얼마나 남들보다 빨리 채용정보를 얻을 수 있느냐가 취업의 지름길인 셈이다. 외국계 기업은 공채를 통한 대규모 인력채용보다 주로 수시 소수 채용을 방식을 택하므로 특정 기업, 특정 업종에 관심 있는 구직자라면 해당 업체 인사담당자에게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미리 보내놓는 것이 좋다. 또 수시로 관심 기업의 홈페이지를 방문, 사원을 모집하는지 여부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한국외국기업협회(www.forca.org)와 주한미국상공회의소(www.archarm.org)에서도 채용정보와 기업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턴부터 뚫자=외국계 기업은 곧바로 업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한다. 출신 학교나 학과, 성별보다 실무능력을 가장 중요시하기 때문에 대학원 2년보다는 1년의 실무경력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많다. 구직자들은 자신의 관심 분야 업무를 미리 경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직접 경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자신이 무엇을 준비해야 할 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으므로 외국계 기업의 인턴십 제도를 경험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회사에 기여할 것 제시=성과 지향적인 외국계 기업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한다. 회사에 이익을 가져다 주는 사람이 핵심인재인 셈이다. 외국계 기업에서는 각 업무별로 그 역할과 지시내용이 세분화, 문서화 되어 채용도 업무 내용에 따라 세분화해 진행한다. 따라서 외국계 기업 지원자라면 자신의 업무 전문성을 키워 도전하는 것이 좋다. 또한 ‘회사에서 자신이 할 일이 무엇이고, 어떻게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전문 자격증 활용=직종별 자격증을 취득해 두고 있다면 외국계 기업 취업시 유리하다. 일반사무직의 경우 컴퓨터활용 능력을 보여주는 각종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취업에 유리하다. 경리 및 회계직은 미국 공인관리회계사협회의 공인관리회계사(CMA) 자격증이 유리하며, 생산관리직의 경우 생산재고관리자(CPIM)나 미국공인물류및구매관리자(CPM) 자격증 등을 소지하고 있으면 도움이 된다.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요=외국계 기업은 이력서뿐 아니라 면접도 영어로 진행할 정도로 취업에 외국어는 기본이다. 특히 읽고 쓰는 영어 실력이 아닌 영어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필요하다. 외국계 기업에서는 상대방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남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을 연마하는 것이 좋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