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전자 조작 제대혈 줄기세포로 뇌종양 치료 가능성 확인

가톨릭대 전신수 교수팀


국내 의료진이 제대혈(탯줄혈액)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악성 뇌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 악성 뇌종양은 수술이나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해도 예후가 불량하고 평균 생존기간이 1~2년으로 아주 짧은 난치성 질환이다. 가톨릭대 강남성모병원 신경외과 전신수(사진) 교수팀은 제대혈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 중 하나인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를 이용해 뇌종양 세포를 추적, 파괴할 수 있는 치료법을 찾았다고 3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암 분야의 저명 국제학술지인 '캔서 리서치' 12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연구팀은 암세포를 파괴할 수 있는 특정 유전자를 암세포에 전달하는 운반체로 몸 속 종양세포를 따라 이동하는 성질(tumor tropism)을 가진 줄기세포를 활용했다. 연구팀이 뇌종양을 일으킨 실험쥐의 종양 부위 반대편 뇌에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세포사멸유도물질(TRAIL)'을 분비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식한 결과 이식된 세포들이 종양 부위로 이동하는 것이 관찰됐다. 또 치료 유전자가 세포사멸유도물질을 분비, 종양의 크기를 감소시켜 뇌종양 실험쥐의 생존율을 높였다. 중간엽줄기세포는 골수와 제대혈에서 채취되는 줄기세포의 하나로 대략 100만개가 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대혈에서 추출한 중간엽줄기세포는 획득하기 쉽고 동종(예 사람) 간에 이식하면 면역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폭이 넓다. 골수에서 추출한 중간엽줄기세포는 환자(본인)의 골수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전 교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가 바이러스를 직접 투여하는 유전자 치료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됐다. 앞으로 임상 적용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