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만성질환 퇴치 범국민운동] 천식이란

폐·가관지안 붓고 호흡곤란등 유발기도염증으로 인해 폐와 기관지 안이 붓는 질환이다.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증상은 심각한 호흡곤란. 대체로 ▦기도 내벽 염증발생 ▦기도근육 경직 ▦점액 분비량 증가 등 3단계를 거쳐 나타난다. 어린이나 성인 모두 발병하며 환자 층은 지난 20여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환자는 발작 시에 ▦천명(마치 가슴에서 휘파람을 부는 것처럼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는 증상) ▦호흡곤란 및 흉부 압박감 ▦기침(특히 야간에 심하다) ▦담ㆍ가래 등을 경험한다. 원인이 완벽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의학계는 가족력이 있는 질병으로 여기고 있다.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도 없다. 그러나 올바른 방법으로 관리를 하면 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서 살아갈 수 있다. 천식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심야성 천식, 운동 유발성 천식, 알레르기(아토피)성 천식, 아스피린 유발성 천식, 직업성 천식(직장에서 기화성 도료용매나 염료 등의 물질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 브리틀성 천식(Brittle Asthmaㆍ매일 증상이 변하는 극도로 불안정한 천식으로 관리를 제대로 하더라도 갑자기 심한 발작이 일어난다)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폐의 기도는 염증 때문에 매우 민감해져 있는데(과민반응), 발작이 시작되면 기도가 좁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발인자는 알레르겐(집먼지 진드기, 애완동물, 꽃가루, 곰팡이 및 일부 음식물), 운동(흔하지만 증상의 예방이 가능하다), 바이러스성 감염(감기, 독감), 자극성 물질(담배연기, 공기오염, 기화성 도료용매) 등이 대표적이다. 이 밖에 온도변화(갑작스런 온도저하), 직업적 원인(목재가루, 밀가루, 산업용 화학물질), 약물(아스피린을 비롯한 진통제 및 심혈관 약물), 불안정한 정서(근심, 스트레스, 흥분)도 빼놓을 수 없다. 천식발작은 증상이 악화됨에 따라 필수적으로 따르는데 상태를 안정시키고 예방을 위해 평소 적절한 치료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나 가족들이 꼭 염두에 둬야 할 것은 천식발작으로 목숨을 잃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급성악화(Exacerbation)는 말 그대로 천식증상이 악화되는 증세로 유발물질에 노출된 후 바로 나타난다. 천식은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며 위험요소 중 진단이 쉬운 것은 아토피에 대한 민감성이다. 가족 중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대개 다른 구성원도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호흡기 계통이 감염됐거나 저체중아로 출생했을 경우, 다이어트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환자라면 흡연은 필수적이다. 담배연기 속에는 4,500가지가 넘는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이 들어있어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어린이들의 간접흡연은 위험하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박영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