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개포지구 재건축사업 본격화

4만2,000 가구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br>'지구단위계획 수정안' 확정


서울 강남권 최대 규모의 주거지인 개포지구 내 아파트 32개 단지 2만8,704가구의 재건축사업이 본격적으로 닻을 올리게 됐다. 개포지구는 앞으로 최고 45층의 스카이라인을 갖춘 총 4만2,000여가구의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28일 오후 ‘도시ㆍ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강남구가 제시한 ‘개포지구 제1종지구단위계획 가이드라인’의 최종 수정안을 확정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수정안이 확정됨에 따라 조만간 구청에서 가이드라인을 공람공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포지구 내 각 재건축조합과 구청은 본격적으로 단지별 정비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재건축 연한을 충족하고도 정비계획을 짤 수 없어 8년 가까이 굳게 닫혔던 개포지구 재건축사업의 빗장이 마침내 열린 셈이다. 개포지구는 재건축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대치동 은마아파트(4,424가구)나 잠실주공5단지(3,930가구)보다 규모가 훨씬 크고 사업성도 상대적으로 높아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던 지역이다. 서울시가 수정한 가이드라인에는 구청 및 조합이 수립할 정비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용적률 및 통경축(조망을 확보할 수 있는 열린 공간) 기준이 담겨 있다. 한 마디로 단지별 정비계획의 마스터플랜인 셈이다. 가이드라인이 공람공고를 마치면 이미 조합이 설립된 개포주공1단지는 조합에서 직접 정비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고 주공2ㆍ3ㆍ4단지 등은 구청이 정비계획을 짜 서울시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개포지구 저층아파트에는 240%의 기준 용적률이 적용되며 중층아파트 자리인 3종 일반주거지역에는 280%의 용적률이 적용된다. 이는 강남구가 최초에 제시한 가이드라인안과 같은 용적률이다. 서울시는 현재 2만8,704가구인 개포지구 규모가 최대 4만2,000여가구까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구가 제시한 용적률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며 “다만 고밀도 개발을 우려해 도시기반시설 등 생활편의시설을 확충할 것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각각 65만㎡, 103만㎡인 도로와 공원ㆍ녹지의 비율을 더 늘리도록 한 것이다. 개포지구=강남구 개포동 660, 도곡동511ㆍ410, 일원동 619 일대 개포택지개발지구 중 공동주택용지. 개포주공 등 저층아파트와 우성1ㆍ2차 등 중층아파트 32개 단지로 구성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