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 무산 가능성

美 결의안 제출 연기 요청, 日 제출시기 미루기로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계획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이 안보리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일본 등 G4국가의 유엔 개혁결의안제출계획에 제동을 건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외상이이달로 예정했던 결의안 제출시기를 미루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마치무라 외상은 이달로 예정했던 결의안 제출시기를 일단 7월 이후로 미룰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마치무라 외상은 기자회견에서 "아프리카 정상회의가 7월 초에 열리니 그때까지결의안 제출을 미뤄달라는 의견이 있고 카리브해 정상회의도 7월중에 열린다"고 지적, "이런 움직임과 각국의 반응을 지켜보면서 적절한 (결의안) 제출시기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G4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추진중인 일본, 독일, 인도, 브라질 4개국을 가리키는 말로 이들은 6월중 결의안 제출, 7월중 새 상임이사국 선출, 9월 유엔헌장개정 일정을 내걸고 그동안 유엔 회원국을 상대로 활발한 득표활동을 벌여왔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3일 밤 마치무라외상과의 전화회담에서 "유엔 개혁안의 6월 제출은 너무 빠르다"면서 개혁안 제출을 미룰 것을 요청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마치무라 외상은 이 보도에 대해 "회담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만 말했다. 라이스 장관은 7월 이후 일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결의안 6월 제출에 반대의사를 밝힌 것은 G4의 결의안 제출 자체에 반대한다는 뜻으로풀이된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내에서는 상임이사국 진출을 비롯한 유엔 개혁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외무성 간부는 미국의 결의안 제출 연기요청은 "결의안 제출 자체를 그만두라는뜻으로 다음달에는 내도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