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G7, 開途國 외채위기 막는다

채권국 일정비율 동의땐 채무삭감ㆍ유예추진 오는 27일 열리는 선진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담에서 외채 위기에 빠진 개발도상국에 대해 일정 비율의 채권자들이 동의할 경우 채무 상환기간을 유예하거나 삭감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안이 마련될 전망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4일 국제금융계의 소식통을 인용, G7이 이 같은 내용의 `집단행동조항`을 채택, 공동 성명에 이를 포함시키기로 방침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이 조항이 채택된다면 개도국이 발행한 국채에 대해 일정비율 이상의 채권 보유자가 채무 상환 유예 및 삭감에 동의할 경우, 모든 채권자들이 동의 내용에 따라야 한다. 채무국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져 국제 금융시장에 혼란을 초래하는 사태를 주요국의 금융기관 등 주요 채권자들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동의가 필요한 채권 보유 비율에 대해선 금액 기준으로 총 채권액의 60~70%에서 최종 조율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G7이 이 같은 합의에 도달한 것은 지난해 12월 아르헨티나가 1,410억달러에 달하는 디폴트를 선언한 이래 금융위기가 브라질을 비롯한 다른 남미 국가로 계속 확산되고 있기 때문. 종전까지는 대다수 채권자들의 동의 없이는 채무 조정이 이뤄지지 않았으나, G7의 재정 및 금융 당국은 특정 국가의 위기상황이 세계 경제질서에 혼란을 몰고 오는 것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해 새로운 위기대응책을 마련하게 됐다고 요미우리 신문은 분석했다. 신경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