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요 투자은행, 한국 성장률 전망치 높여

4.7%로 두달새 0.4%P나… "잠재성장률 달성 가능"

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주요 투자기관의 시각이빠르게 긍정론 쪽으로 기울고 있다. 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ABN암로.씨티.도이체방크.골드만삭스.JP모건.리먼브라더스.메릴린치.모건스탠리.UBS워버그 등 9개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이 구랍 중순이후 보고서를 통해 발표한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4.7%로 집계됐다. 이는 센터가 지난해 10월말 일본계 노무라(당시 전망치 4.2%)를 포함해 총 10개기관을 조사한 평균치 4.3%에 비해 불과 두 달 사이 0.4%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현재 4%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기관별로는 리먼브라더스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가장 높은 6.0%를 제시했고,골드만삭스(5.3%), 메릴린치(5.1%), 씨티(5.0%) 등은 5%대 성장을 예상했다. 이밖에 도이체방크(4.7%)와 모건스탠리(4.5%), JP모건(4.4%) 등은 4%대, UBS(3.9%)와 ABN암로(3.6%)는 3%대의 성장률 전망치를 내놨다. 모건스탠리는 두 달 사이 전망치를 3.3%에서 4.5%로 1.2%포인트나 높였고, 씨티(4.3%→5.0%), 메릴린치(4.5%→5.1%), 도이체방크(4.3%→4.7%) 등의 상향 조정 폭도컸다. 특히 모건스탠리의 경우 전망의 내용면에서도 짧은 기간에 매우 급격한 시각 변화를 드러냈다. 지난해 10월까지만해도 모건스탠리의 두 이코노미스트 앤디 시에와 샤론 램은줄곧 "한국 거시 경제의 지표 개선은 일시적인 것으로 점차 중국 경제가 하강함에따라 한국 경기도 동반 추락할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올해 성장률이 3.3%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들은 구랍 6일 발표한 '2006년 한국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자신들의 추정 잠재성장률인 4.5%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수요가 여전히 강해 수출이 계속 경제 성장을 이끌고,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공격적 금리 인상도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이들은 수출 호조와 더불어 기업들이 그동안 축적한 이윤으로 투자에 나선다면 노동 시장과 소비 역시 좋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골드만삭스의 경우 구랍 12일 아시아-태평양 지역 2006년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로 5.3%를 제시하고, 특히 가계 부채 조정등에 힘입어 내수 성장률이 5.7%에 이르며 GDP 성장률을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외국계의 전반적 전망치 상향조정으로 상대적으로 보다 낙관적인 국내민간연구기관들과의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현재 삼성경제연구소와 LG경제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을 각각 4.8%, 4.6%, 4.5%, 4.9%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측의 시각은 더욱 긍정적으로, 재경부와 한국은행의 예상치는 모두 5.0% 수준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