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글로벌금리 바닥탈출] 세계경제 동반 회복세 초저금리시대 ‘마침표’

4일 호주 중앙은행의 전격적인 금리 인상은 전세계 금리 인상 도미노의 첫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사안이다. 영국의 영란 은행 역시 6일로 예정된 정책금리 결정회의에서 금리 인상이 유력시 되고 있다. 아직 시기는 구체적이지 않지만 미국, 일본 등에서도 금리 인상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3년간의 세계 동반 침체 속에서 각국 중앙은행들이 앞다퉈 금리를 내렸던 것과는 정반대의 현상이다. 이제 미국을 필두로 한 세계 각국의 경제 회복세가 가속화하면서 글로벌 초저금리 시대는 바야흐로 막을 내리는 분위기다. ◇각국 왜 금리 인상 나서나=무엇보다 미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세계 경제 동반 회복세가 가장 큰 원인이다.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20여년만의 최고치인 7.2%를 기록한데 이어 올 4분기에도 4%대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 미국의 수요 증가는 아시아, 유럽 각국들의 수출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그동안 각국 금융당국은 금리 인상에 나설 경우 자국 통화 가치 절상에 따른 수출 가격 경쟁력 악화를 우려했지만 최근 경기 회복으로 인해 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훨씬 줄었다. 여기에 호주, 영국, 미국 등의 부동산 과열 조짐은 금리 인상에 대한 압력을 가중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실제로 호주가 당초 예상을 뒤엎고 전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선 데에는 부동산 과열 억제 의도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호주 중앙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주택구입을 위한 담보 대출은 전년 대비 22.5%가 늘었다. 호주 역시 6일 정책금리 결정회의에서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가 부동산 과열 조짐이다. 이와 관련, 최근 17%대로 둔화되기는 했지만 올 연초 영국의 주택 가격 상승률은 30%를 웃돌았다. 아직 일본, 미국 등은 디스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최근 원자재가격을 필두로 한 물가 상승 조짐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는 점도 각국 금융 당국이 금리 인상을 고려하게 된 배경이다. 영국의 경우 현재 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하고 있다. ◇미 내년초 가능성…전세계 경제 전반 영향 클 듯= 이번 금리 인상의 주요 요인이 부동산 과열 억제인 만큼 부동산 시장의 타격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불가피할 전망이다. 오지 홈 론스의 대출담당 매니저 존 시몬드는 “(호주의 금리 인상으로) 더 비싸진 주택담보대출 이자로 인해 주택 구입을 하려는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며 “이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금리 인상으로 2만 호주달러(14만2,000달러)에 대한 30년 만기 대출 이자는 한 달에 33호주 달러가 늘게 됐다. 호주뿐 아니라 미국, 영국 등도 모기지 금리 상승에 따른 대출 억제 효과는 부동산 시장을 잠재우는 강력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은 채권 시장 하락과 통화가치 절상을 야기한다. 실제로 호주 금리 인상이 발표된 4일 호주 달러는 달러 대비 6년래 최고치로 치솟았다. 반면 채권 가격은 급락했다. 다만 미국이 40년래 초저금리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 최근 채권 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등 채권 시장과 금리의 상관관계가 느슨해졌다는 점에서 그 영향이 제한적일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주식시장의 경우 금리 인상은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에는 오히려 장기적으로 호재가 될 가능성도 크다. 우선 금리 인상의 가장 큰 배경이 세계 경제 회복세 가시화라는 점에서다.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은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내년초쯤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이는 FRB의 미국 경제 회복에 대한 자신감으로 해석돼 주식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또 현재 각국이 금리 인상에 나설 경우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곳이 부동산 시장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주식시장은 반사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한편 유럽연합(EU)과 일본의 경우 당장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최근 경기 회복세 가시화로 그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지적이 최근 제기되고 있다. <윤혜경기자 light@sed.co.kr>

관련기사



윤혜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