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인 교수 15%까지 늘린다

러플린 KAIST총장 비전 발표…10억원 이상 정착금 지급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진 중 외국인 비중이 최고 15%까지 늘어난다. 또 세계 최고 수준의 교수들을 영입하기 위해 10억원 이상의 정착금을 지급하는 등 우수 교수에 대한 보상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확대한다. 로버트 러플린 KAIST 총장은 27일 대전 KAIST 본관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KAIST 비전을 밝혔다. 비전에 따르면 KAIST는 학부과정에 경제ㆍ의학ㆍ법학ㆍ예술ㆍ문화 분야에 대한 교과과정을 신설,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기초를 쌓을 수 있도록 했다. 또 교수진과 기반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도 다짐했다. 외국인 교수를 전체의 15%까지 늘이고 신임교원에게 10억원 이상의 정착금을 제공, 경쟁력 있는 교수진을 확보하도록 했다. 또 미국 등에서도 통하는 국제적 수준의 교수에 대해 충분히(Strongly) 보상한다며 능력에 따른 보수를 약속했다. 교수진에 대해 연구ㆍ주거시설 개선 및 탐험연구를 위한 종자기금 확대, 특허취득 지원 확대도 강조했다. 이날 발표된 비전은 KAIST가 빠르게 변하는 산업계나 학부모ㆍ학생들의 수요에 맞춰 보다 시장지향적으로 나아가겠다는 노력이라는 평가다. 러플린 총장은 “KAIST 비전의 목표는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중심 대학”이라며 “미국 MIT를 모델로 KAIST의 역량ㆍ위상ㆍ재정을 점진적으로 강화하고 제도ㆍ시설을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비전은 전체적으로 학생들을 단순 기술자보다는 ‘기술의 혁신적 사용자’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눈에 띈다. 예술과 문화, 비즈니스 경제학, 예비의학, 예비법학 분야 과정을 늘려 대학과정을 마친 학생들이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왔다. 또 학부모나 특히 기업의 인력수요에 맞지 않은 교과목을 없애나가기로 해 향후 교과과정에 적지않는 변화가 있을 것임을 예고했다. 대학원 과정은 KAIST를 세계적인 대학으로 만드는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과정 자체가 가치(이익)를 창출해야 한다고 못을 박았다. 교수가 돈이 되는 교육을 하고 그런 수준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받아들임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보라는 것이다. 다만 그동안 재원확보 과정에서 불거져나온 ‘사립화’ 논란을 정부의 지원증가로 해결하려고 한 점이 한계로 보인다. 러플린 총장은 KAIST가 재량껏 쓸 수 있는 자금(good money)으로 연간 200억원 이상을 예상했다. 현재로는 기업 등 외부로부터의 기부금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정부의 예산증액이 필수적일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