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계 씀씀이 커졌다

소보원 조사, IMF이전보다 높고 통신·교육등 선택비용 증가최근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소비지출 규모가 커지고 소비내용도 선진국형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최근 우리나라 소비실태 동향 및 특징'에 대해 지난 95년부터 올 1ㆍ4분기까지 한국은행ㆍ통계청 등 각종 통계자료를 근거로 문헌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지출 IMF 이전 넘어서 도시근로자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은 95년부터 IMF 외환위기 이전인 97년까지 71% 안팎을 기록했다. 99년에는 74.9%로 IMF 이전 수준을 넘어섰고 올해 1ㆍ4분기에는 76.3%에 달해 IMF 이전보다 6%포인트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선택적 비용 증가 지난해 가계소비지출(도시근로자 가구 기준)에서 식료품비ㆍ피복비ㆍ주거비ㆍ광열비 등 필수적 비용의 지출비중은 줄어든 반면 교통비ㆍ통신비ㆍ교육비 등 선택적 비용의 지출비중은 커졌다. ◇저소득층일수록 부채증가율 높아 99년 이후 가계부채 규모는 연평균 26.4%나 증가했다. 도시근로자가구를 소득수준에 따라 10%씩 끊어 10분위로 나눈 후 96년부터 4년간 1∼5분위의 경상소득과 부채액의 변동 추이를 조사한 결과 경상소득은 이 기간 평균 12.4%, 부채액은 37.4% 늘었다. 특히 1분위의 경우 경상소득은 11% 감소한 반면 부채액은 110% 늘어나는 등 저소득층일수록 부채액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크게 앞질렀다. 최수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