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대그룹, 현대상선 경영권 방어 비상

외국인 지분 44%대로 급증 투자목적·매수주체 파악 분주

최근 현대그룹이 주력 회사인 현대상선의 외국인 지분율이 크게 높아지자 현대상선의 경영권 방어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현대상선측은 이와 관련, 최근 주식을 집중 매수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투자 목적 및 매수주체 등을 파악하기 위해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작년말 18.15%였던 현대상선의 외국인 지분은 지난 8일 44%대로 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열흘 전과 비교하면 5%포인트 가량 높아질 정도로 외국인 지분율 확대 속도가 빠르다. 외국인 지분율이 높아지자 현대그룹측은 이같은 매수세가 단순 투자목적인지, 아니면 경영권을 염두에 둔 세력에 의한 것인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주요 매수 주체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정보 수집에 나서는 등 바짝 신경을 쏟고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를 위해서는 최대주주 등이 현대상선지분을 늘리는 수 밖에 없다“면서도 “아직은 특별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로선 외국인 매수 확대에 따른 파장을 염두에 두고 사태 파악에 주력하는 상황이다. 현대상선측은 최근 해외 기업설명회(IR) 당시 노르웨이 스타방거 측을 방문, 경영권에 관심이 없는 투자목적의 지분매입이라는 의사를 확인받기도 했다. 현재 현대상선 외국인 주주중 5%를 넘는 곳은 허치슨 암포아(12%)와 노르웨이계펀드인 스타방거 폰즈포발트닝 AS(6.39%)가 있으나 현재의 외국인 매수세로 볼 때 또 다른 곳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대한해운 주식을 매집했던 노르웨이계 골라LNG가 현대상선 주식도 사들이는 것으로 추측하며 적대적 M&A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한편 현대그룹 측은 현대상선 지분을 현대엘리베이터가 15.16%, 현정은 회장과 가족이 3.36% 등을 갖고 있고, 현대건설 8.69%, KCC 6.26% 등 옛 현대가 지분도 있지만 이제는 경영권 방어문제를 고려해야 할 시점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