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홈쇼핑 방송委 제재 줄었다

작년보다 감소 식품류 최다 주방·가정용품 뒤어어홈쇼핑 업체들이 방송위원회로부터 받은 제재 건수가 지난해 4분기에 비해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일 TV홈쇼핑 업계에 따르면 방송위원회로부터 과장광고 등으로 주의ㆍ경고 등을 받은 홈쇼핑 업체들의 제재 건수는 올 들어 4월 19일까지 98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 집계로만 보면 1분기에 총 66건으로 지난해 4분기의 76건에 비해 10건이 줄어들었다. 이를 업체별로 보면 LG홈쇼핑 23건, CJ39쇼핑이 21건, 농수산TV와 현대홈쇼핑이 17건,우리홈쇼핑이 14건 순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수치는 LG홈쇼핑ㆍCJ39쇼핑ㆍ현대홈쇼핑 등이 24시간 전일 방송을 하는데 비해 우리홈쇼핑이 20시간ㆍ농수산TV가 19시간 방송하는 것을 감안하면 업체별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재를 받은 상품군을 보면 식품류가 징계 1건을 포함, 38건으로 가장 많았고 주방ㆍ가정용품이 13건, 미용 관련 제품이 10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제재 유형별로 보면 '불확실한 표현'등 객관성을 결여한 경우가 67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제품의 효능을 벗어난 표현'등이 16건, '혐오감 조성'이 11건 이었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보면 "먹거리를 파는 곳에서 컴퓨터를 파니까 믿음이 안가네요" "다른 곳에서 경품 당첨되지 않았으면 취소하고 여기서 구입하세요"등 경쟁업체를 깎아 내린 사례가 많았다. 또 제재를 받은 효소식품의 경우 "몸 속에서 200배로 팽창해 질병의 근원인 숙변을 제거,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해준다고"고 과장 하는가 하면, 의자를 판매하면서 "변비를 완치 한다"고 효능을 부풀린 경우도 있었다. 이에 따라 방송위와 홈쇼핑 5개 업체는 자료화면 활용땐 내용의 진실성에 대해 객관적인 입증자료를 제출토록 합의 했으며, 다른 홈쇼핑 업체에서 제재를 받은 내용으로 재차 지적될 경우에는 가중 처벌을 하기로 했다. 한편 LG홈쇼핑과 CJ GLS의 관계자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지난해 하반기에 후발 3사가 시장에 뛰어들어 경쟁이 격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제재는 오히려 줄어들었다"며 "내부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전 심의와 소비자 단체를 방송 지킴이로 활용하는등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 효과를 본 것 같다"고 나름대로 원인을 분석했다. 우현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