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득 최상위-최하위층 사교육비 격차 8배 달해

소득 최상위 계층이 학원ㆍ과외 등 사교육에 쓰는 비용이 최하위 계층의 무려 8배에 달하면서 사교육비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의 2ㆍ4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소득 최상위 10% 계층의 월평균 전체 소비지출은 373만6,000원으로 최하위 10% 계층의 88만3,000원의 4.2배에 달했다. 이 가운데 입시ㆍ보습ㆍ예체능 학원 등 사교육비 지출을 보여주는 보충교육비는 상위 10% 계층이 월 평균 29만2,000원을 사용하는 데 비해 하위 10% 계층은 3만6,000원에 불과, 격차가 8.1배에 달했다. 상위 10% 계층과 하위 10% 계층의 사교육비 격차는 지난해 2ㆍ4분기 9.2배를 정점으로 같은 해 3ㆍ4분기 8.3배, 4ㆍ4분기 7.6배, 올 1ㆍ4분기 6.3배 등으로 줄어들다 2ㆍ4분기 들어 다시 확대됐다. 또 최상위 계층과 최하위 계층의 주요 소비항목의 경우 교양ㆍ오락지출이 각각 25만9,000원, 3만4,000원으로 지출 격차가 7.6배에 이르렀다. 이밖에도 가구ㆍ집기ㆍ가사용품 등은 7.4배, 피복ㆍ신발 6.6배, 기타 소비지출 6.4배 등의 순이었다. 아울러 최상위 계층은 전체 소비지출에서 이ㆍ미용, 장신구, 잡비 등 기타 소비지출(82만2,000원) 비중이 가장 컸지만 최하위 계층은 식료품(25만9,000원)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