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민銀 4분기 실적 관심

강정원은행장 '충당금 100%적립' 선언

국민은행의 4ㆍ4분기 영업실적이 어떻게 나올지가 금융계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강정원 행장이 취임사에서 “충당금 적립기준을 75%에서 100%로 높이고 지난 3분기에 3.54%에 머물던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2%대로 낮추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금융계 일각에서는 국민은행이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충당금을 쌓을 경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적자로 돌아설 수 있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예측하고 있다. 다만 강 행장이 ‘깨끗한 은행’을 만들겠다는 각오를 피력한 만큼 4ㆍ4분기에는 추가 충당금 적립 부담으로 순이익은 크게 줄어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당초 국민은행의 3ㆍ4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은 6,825억원에 달해 올해 전체로는 1조원 안팎의 순이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적자 반전에 대한 예상 시나리오는 부실자산에 대한 충당금을 최대한 쌓는 경우다. 국민은행이 지난 3ㆍ4분기까지 적립한 충당금은 3조5,973억원. 여기에 4ㆍ4분기에 통상적으로 쌓아야 하는 9,000억원 수준의 충당금 외에 추가로 5,000억원 안팎을 쌓을 경우 지난 3ㆍ4분기까지 벌어놓은 세전 순이익 1조원, 세후 순이익 6,825억원을 모두 까먹게 된다. 이 경우 적자반전이 예상된다. 하지만 금융계에서는 이 시나리오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정태 전 행장 취임 당시에는 FLC(미래상환능력예측) 기준을 새로 도입해 대규모 적자를 냈지만 올해는 그 같은 회계 기준 변경은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적자를 내고 배당을 하지 못할 경우 주주들의 반발이 예상외로 거세질 수 있다는 것도 부담이다. 또 충당금 부담을 없애면서 재무제표를 크린화하는 방법으로 ‘연체대출 회수 총력전’을 펼치는 전략도 가능하다. 강 행장이 취임사에서 “부실자산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자산상태를 재점검하고 연체대출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힌 대목과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경제여건이 최악인 상황에서 무리하게 연체 회수에 나설 경우 신임 행장과 함께 새롭게 출발하는 ‘국민은행’의 이미지가 실추될 뿐 아니라 은행권에 대해 중소기업 대출을 독려하고 있는 정부정책과도 배치된다는 게 부담이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국민은행이 충당금을 많이 쌓더라도 배당 가능한 수준의 순이익을 내는 쪽에서 회계처리 방안을 찾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