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류열풍, 소비재 수출증가 효과 미미"

일본과 중화권에서 불고있는 한류(韓流) 열풍이 관광객 유입효과는 크지만 소비재 수출 증가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일 '한류열풍의 실체와 기업의 전략적 활용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국가별 문화산업 규모와 한류 소비특성을 분석해 차별화된 전략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보고서는 "한류, 비한류 상위 8개 교역국의 4년 평균 소비재 수출 증가세를분석한 결과, 독일(31.2%), 영국(26.7%), 이탈리아(26.7%), 미국(13.8%) 등 비한류권 국가가 중국(26.9), 일본(-3.4%), 홍콩(15.7%), 대만(11.6%) 등 한류권 국가보다수출증가율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한류가 제품수출로 연결되는 효과가 아직까지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일본은 특정 문화상품에 대한 마니아적 소비성향이 강하고 다른나라 문화를 흡수 재생산해 수요를 창출해 내는 반면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 한류는 특정스타에 몰입하고 모방에 치우쳐 한류를 자국문화로 재생산해 내기보다는 단순 소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이런 특성을 활용해 한류마케팅에 나서야한다고 밝혔다. 일본의 경우 문화산업 시장규모가 2003년 기준 약 800억-900억달러에 달하고,다른 나라 문화를 자국문화로 재생산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점에서 문화상품을 공동개발 하거나 소비재 위주로 한류마케팅을 활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보고서는지적했다. 중국 등 동남아 지역은 원.부자재 수출이 대부분인 만큼 우리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쇄신하는데 한류를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미국은 세계 문화산업 시장의 42.6%를 차지하고 있어 매우 매력적이긴 하지만 세계 최고의 제품.콘텐츠의 격전장이기도 하기 때문에 섣불리 접근하기보다는 고품질 제품에 한류마케팅 전략을 적절히 가미한다면 소비재와 문화상품이동시에 미국에서 통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한편 대표적인 한류상품인 영화, 방송, 음반의 2004년 대일 수출실적은 1억3천863만달러로 2002년(3천327만달러) 대비 316.6% 증가하며 중국(1천709만달러), 대만(1천891만달러), 홍콩(928만달러) 수출을 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 원조국인 중국, 대만은 2년간 51.1%, 18.5%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홍콩은 15.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경영조사팀 손세원 팀장은 "아직까지 한류효과가 문화산업 성장에만국한되고 소비재 수출로 이어지지 않고있는 만큼 우리 기업이 한류를 수출 및 투자전략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한류특성을 잘 파악해 접근하는 노력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