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자동차기술 2010년 일본에 근접

메모리반도체 독주… 비메모리는 日의 80%까지 추격 오는 2010년 한국의 자동차산업은 일본에 근접한 기술력을 갖지만 비메모리반도체는 일본 기술의 70~80% 수준에 머물 전망이다. 반면 중국은 2010년 메모리와 비메모리반도체의 생산기술에서 각각 일본과 한국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연구원(KIET)은 18일 '한ㆍ중ㆍ일 산업기술 경쟁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자동차 및 반도체업계 관계자를 상대로 벌인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분석했다. 이번 분석은 일본의 기술수준을 100%로 잡고 비교한 것이다. ▶ 메모리는 한국, 비메모리는 일본 현재 한국은 메모리반도체 산업에서 신기술 응용능력(95%)을 제외한 설계(100%), 신제품개발(105%), 생산기술(110%) 등에서 일본에 앞서 있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일본의 50~60%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10년 한국은 설계ㆍ신제품개발(110%), 생산기술(120%), 신기술 응용능력(105%) 등에서 일본과의 격차를 확대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의 경우 생산기술(100%)에서는 일본을 따라잡고 설계ㆍ신제품개발(90%), 신기술 응용능력(85%)에서도 격차를 축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는 일본의 절대적 우위가 2010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10년까지 비메모리 분야에서 한국은 설계, 신제품개발, 신기술 응용능력 등의 분야에서 현재 일본의 60% 수준에서 70%로 성장하고 생산기술도 70%에서 80% 수준으로 높아지는 데 그칠 전망이다. 중국의 경우 생산기술이 현재 일본의 60%에서 2010년에는 80% 수준으로 높아지면서 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서지만 설계, 신제품개발, 신기술 응용능력 분야에서는 40%에서 60%로 성장, 일본과의 격차를 쉽게 줄이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다. ▶ 자동차에서는 한국과 중국이 일본을 추격 현재 한국의 생산기술(92.5%)과 신기술 응용능력(87.5%)은 일본에 근접했지만 설계(82.5%)와 신제품개발(83.8%)은 아직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10년에는 설계(95.0%), 신제품개발, 신기술 응용능력(96.3%), 생산기술(98.8%) 등에서 95%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경우 현재 생산기술(66.3%)을 제외한 설계ㆍ신제품개발(51.3%), 신기술 응용능력(57.5%) 등이 모두 일본의 60% 수준에 못 미치고 2010년에도 80% 안팎에 머물 것으로 분석됐다.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보면 한국은 현재 품질(86.3%), 가격(76.3%), 종합경쟁력(83.8%)에서 일본에 뒤지지만 2010년에는 품질(97.8%), 가격(90.0%), 종합경쟁력(97.8%)에서 대등한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도 2010년에는 품질(81.3%), 가격(78.8%), 종합경쟁력(81.3%) 등이 현재보다 높아지지만 일본의 80%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사공목 KIET 부연구위원은 "일본의 기술력과 중국의 추격 사이에서 살아남으려면 신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한ㆍ중ㆍ일간의 기술개발협력이나 공동연구를 통해 3국 분업관계가 심화되는 것에 대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병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