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년일자리 위한 '희망아카데미' 세운다

직업훈련·창업 등 원스톱 서비스

정부가 이달 말 청년희망펀드를 운용할 청년희망재단을 설립하고 청년들의 일자리를 위한 직업훈련이나 취업알선·해외진출·창업지원 등을 원스톱 서비스하는 청년희망아카데미를 신설한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희망펀드 운용 계획을 발표했다.

황 총리는 "현재까지 청년희망펀드에 5만4,000여명이 공익신탁을 통해 후원해 기부금 규모가 약 43억원에 달한다"며 "펀드를 운용하는 재단이 수행할 지원사업은 정부의 청년 일자리 대책과 차별화하면서도 기존 정책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이달 안에 이사진 구성 등을 마치고 서울광화문 우체국 건물 내에 청년희망재단 및 청년희망아카데미를 설립한다. 청년희망아카데미는 기업 등 민간의 고용 수요를 적극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년들에게 취업정보 확보, 교육 훈련, 멘토링 서비스 등 취업과 관련된 전과정을 원스톱 지원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사업 구상안을 살펴보면 인문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빅데이터소셜마케팅, 프리미엄 관광가이드 과정 등 융합교육 훈련 과정을 지원한다. 문예창작과·국문과 학생들에게는 애니메이션 등의 교육 과정을 제공해 영화·게임 쪽 직업을 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은 현장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소프트웨어 쪽을 예로 들면 월 30만원 하는 정부의 일률적인 지원으로는 국내외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최고급 전문가를 육성하기 힘들다"며 "청년희망아카데미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재 육성을 위해 추가적인 교육비, 학생들의 생활비 등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운영하는 청년취업아카데미가 '기본'이라면 재단의 과정은 '플러스 알파'로 이해하면 된다는 게 이 장관의 설명이다.

청년희망아카데미는 이외에도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하고 있는 창업 관련 정보 및 멘토링 서비스 제공은 물론 정부가 K무브(Move) 사업으로 전개하고 있는 해외 취업 맞춤형 교육도 실시한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한해 2조원을 투입하고 있는 청년 일자리 사업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준 펀드 규모(43억원)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co.kr


관련기사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