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백종천 전 청와대 안보정책실장과 공저한 회고록 ‘노무현의 한반도 평화구상 - 10.4 남북정상선언’에서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이들은 노무현 전 대통령 재직 기간 대북정책 수립에 깊이 관여한 핵심 인사들로 꼽힌다.
1일 공개된 회고록에서 김 전 원장은 “김양건 통일전선부 부장은 최승철 부부장과 원동연 실장을 대동하고 1박2일 일정으로 서울을 극비리에 방문했다”며 “9월 26일 노무현 대통령은 청와대 여민1관에서 북측대표단을 접견했다”고 밝혔다.
당시 정상회담 합의문에 대해 우리 정부는 평화체제 문제와 경제협력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담아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북한은 6·15 남북공동선언처럼 포괄적인 내용을 요구했다. 김 전 원장은 “이러한 입장차이를 잘 알고 있던 노무현 대통령이 김 부장 일행에게 직접 남북이 합의해 놓고 이행하지 않는 문제 등을 거론한 뒤 이번 정상회담은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회고했다. 결국 우리 정부 입장이 정상회담 합의문인 10 4 남북정상선언에 반영됐다.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은 2000년 6·15 공동선언에 대해 “아주 훌륭한 문건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6·15공동선언 5년 동안의 역사 시간을 보면 그저 상징화된 빈 구호가 되고 빈 종이, 빈 선전곽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남북 경제협력이 기대만큼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