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중국 채권시장에서 한국 위안화 국채 발행 가능

[한중 정상회담] RQFII 투자한도도 800억 위안에서 1,200억 위안으로 대폭 확대

중국 상해에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개설된다. 또 중국 채권시장에서 한국의 위안화 국채발행이 가능하게 됐으며 중국 본토의 주식, 채권 등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규모가 현행 800억 위안에서 1,200억 위안으로 대폭 확대된다.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는 31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합의했다.


중국은 상해에 원·위안화 시장을 조속히 개설하고 거래활성화에 협조하기로 했다. 지난해 12우러 서울에서 원·위안화 직거래시장을 개설한 데 이어 양국간 금융협력의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이는 해외에서 원화거래(자본거래 목적)가 허용되는 최초의 사례로 원화의 국제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중국내 원화환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기업들의 환위험 감소, 환전수수료 절감효과도 꾀할 수 있다.

중국 채권시장에서 한국의 위안화 국채발행도 가능하게 됐다. 중국 정부가 중국내 채권시장에서 여타 국가의 국채발행을 허용한 것은 최초의 사례이며 한국 정부가 위안화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도 처음이다. 그 동안은 달러 및 유로화 표시 국채만 발행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세계 3위 규모인 중국 채권시장에서 국내 기업·금융기관들이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고 정부의 외환보유액 통화의 다변화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한국의 위안화 적격해외기관투자자(RQFII) 쿼타도 현행 880억 위안에서 1,200억위안으로 대폭 늘어났다. RQFII는 중국 정부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중국 본토의 주식ㆍ채권 등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한도를 정해주는 제도다.

한국은 2014년 7월 800억 위안(약 13조원)에 달하는 한도를 부여받았는데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규모가 확대된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투자자들의 대 중국 투자기회가 크게 확대되고 국내 위안화 금융중심지 여건조성에도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한국 소재 국내은행들이 산동성에 있는 기업에게 위안화로 대출도 가능해진다. 현재는 청도시 소재기업에게만 위안화 대출이 가능하다. 산동성내 크라우딩 펀펀딩 시범사업 추진, 산동성내 자본시장과 우리 코스닥간 협력 촉진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