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4대강 지천 정비사업 조속히 착수하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가뭄사태를 해소하기 위해 4대강의 지천 정비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주목된다. 김 대표는 28일 가뭄 현장인 충남 보령댐과 예당저수지를 찾아 "4대강 사업이 정치공방에 휘말려 2차 사업이 중단된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지류·지천 정비사업을 조속히 재개하겠다고 천명했다.

여권이 4대강과 연결되는 지방 하천을 정비해 물 부족을 해소하겠다고 나선 것은 만시지탄이 아닐 수 없다. 4대강에는 물이 넘쳐난다는데 옆 동네에서는 당장 먹을 물조차 없다며 아우성치는 모습이야말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한마디로 4대강이라는 동맥을 만들어놓고도 실핏줄을 제대로 잇지 못해 빚어진 혼란인 셈이다. 이런 지경까지 이른 데는 4대강이라면 무조건 반대로 일관해온 야당과 환경단체의 탓이 크지만 박근혜 정부의 '4대강 콤플렉스'가 일조한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이명박 정부 시절의 4대강 공사를 총체적 부실로 몰아붙였던 게 바로 현 정부의 감사원이다. 이런 측면에서 안희정 충남지사가 "속이 타들어 가는 가뭄 앞에서 4대강이라는 정치적 쟁점을 갖고 다투지 말아야 한다"며 실사구시를 강조한 것은 새겨들을 대목이다.

그동안 애써 외면해왔음에도 우리나라는 유엔이 지정한 물 부족 국가다. 가뭄이 세계적 현상인 만큼 이제라도 정치공방에서 벗어나 체계적인 수자원 관리에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한다. 가뭄이 심각한 지역부터 둑을 높이는 등 중규모 저수지 사업을 추진하고 4대강 보에 수로를 만들어 남는 물을 다른 수계로 보내는 작업도 서둘러야 한다. 가뭄예측 시스템을 갖추고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 국민 인식을 바꾸는 노력도 절실하다. 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나라치고 망하지 않은 나라가 없었다는 역사의 교훈을 되새길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