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썸 in SNS] 논란 부른 '교과서 국정화'









역사 교과서
서울경제썸은 최근 카드뉴스 '비정상의 정상화-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을 제작, 박근혜 정부의 국정 교과서 논란을 다뤘다.



박근혜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공간이 후끈 달아올랐다. "올바른 역사 교육을 통해 대한민국의 자긍심을 갖도록 하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식 입장과는 달리 SNS 내 여론은 획일화된 교육이 불러올 수 있는 편향성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

트위터 아이디 '순간과 영원'은 "좌파 국정 교과서든 우파 정권의 교과서든 동의하지 않는다"며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고민하고 토론하는 게 교육"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아이디 'Byeonghyeon Ham' 역시 "권력자의 의지가 반영될 소지가 크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이번 방침이 박정희 정권의 쿠데타나 유신 등 과오를 미화하거나 왜곡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아버지를 향한 박 대통령의 사부곡이 국정 교과서 집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이디 'Veritas Lux Mea'는 "박 대통령이 아버지 탄신 100주년에 맞춰 국정 교과서로 아버지의 명예 회복을 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서울경제신문의 디지털 브랜드 서울경제썸은 카드뉴스 '비정상의 정상화?-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을 최근 제작, 이번 문제와 관련한 각계 반응 및 과거·해외 사례 등을 소개해 네티즌들의 많은 호응을 받았다. 네이버 아이디 'papa****'는 "한 나라의 역사를 배우는 교과서를 단 한 곳, 그것도 국가 기관에서 만든다는 건데 어떤 책이 나올지 안 봐도 뻔하다"는 댓글을 달았다.



관련기사



유병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