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자의 눈] 캐딜락 타는 한국GM 사장


"'알페온'이 아니라 '캐딜락'을 탄다고요?"

최근 한국GM 최고경영자(CEO)로 승진한 제임스 김 사장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한 업계 관계자는 고개를 갸우뚱했다. 캐딜락은 GM의 럭셔리 브랜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한국GM과 별도법인인 GM코리아가 수입 판매하는 '수입차'이기 때문이다.

자동차 기업의 CEO는 그 회사를 대표하는 차를 탄다. 수만 명의 직원들이 심혈을 기울여 기획하고 연구해 직접 손으로 만들어낸 최고급 세단은 회사의 자존심이고 CEO는 회사의 자존심을 탄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에쿠스'와 함께 'K9'을 이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외국 자본이 투입된 국내 자동차 업체 CEO들도 다르지 않다. 프랑수아 프로보 르노삼성 사장이 'SM7'을, 최종식 쌍용차 사장이 '체어맨'을 타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김 사장의 전임자였던 세르지오 호샤 한국GM 회장은 알페온 찬양론자였다. 그도 캐딜락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부평공장에서 직접 생산한 알페온을 타며 스스로 세일즈맨이 됐다. 만나는 사람에게 꼭 한번 타봐야 할 차라고 소개하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부평·군산·창원·보령 등 국내 4개 사업장에서 연 60만대의 완성차를 생산하는 한국GM을 이끄는 수장은 직원들의 자존심을 지켰다. 이에 반해 김 CEO는 미국 공장에서 생산된 캐딜락 'CTS'와 국내에는 정식 수입되지도 않는 캐딜락의 대형 SUV '에스컬레이트'를 자차로 쓰고 있다.

최근 한국GM 전 직원은 임팔라의 국내 생산을 위해 판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 1만대 이상 판매를 기록하면 임팔라의 국내 생산길이 열리고 이렇게 되면 회사가 더욱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캐딜락을 타는 김 사장의 모습에서는 '카 가이(car guy)'가 아닌 '구조조정 전문가'라는 꼬리표를 다시금 떠올리게 된다. 효율성을 개선하지 않으면 생산기지를 인도로 이전한다던 GM 본사의 엄포가 그의 캐딜락으로 전해지는 것 같아 씁쓸하다.

/산업부=강도원기자 theone@sed.co.kr


관련기사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