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글로벌 돈 풀기 확산… 환율전쟁 다시 격화되나

글로벌 경제부진이 계속되면서 각국이 다시 돈 풀기에 나설 모양이다. 미국은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연내에서 내년으로 미루는 분위기이고 이로 인해 국채발행 금리가 사상 최초로 제로(0)까지 내려갔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과 일본도 각각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충격에 추가 양적완화를 모색하는 듯하다. 인도·대만 같은 신흥국들은 이미 지난달 금리를 내렸고 중국 역시 언제 위안화 절하와 금리 인하에 나설지 모른다. 잠시 걷히는가 싶었던 글로벌 환율전쟁의 먹구름이 다시 짙어지고 있다.

각국의 양적완화 움직임은 경기흐름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이전에는 중국이라는 버팀목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오히려 세계 경제에 짐이 되는 모양새다. 연초에는 미국 경기회복에 기대를 걸어봤지만 요즘은 각종 지표 부진으로 이러한 희망조차 가물가물해지고 있다. 대신 악재는 쏟아져 나오고 있다. 세계은행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처음 7% 아래(6.9%)로, 내년에는 6.7%로 낮췄고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세계 경제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씩 하향 조정했다. 사방 어디에서도 빛이 안 보이니 통화정책이라도 동원해 돌파구를 찾겠다는 게 각국의 고육지책이다.

경쟁국들이 돈을 푼다면 우리 정부도 대응에 나서야겠지만 뾰족한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올해 11조6,000억원의 추가경정예산에 이어 기준금리도 1.5%까지 내렸으나 약발은 별로 없이 재정악화와 눈덩이 가계 빚이라는 부담만 키웠다. 일부에서는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 추가 인하를 거론하기도 하지만 통화정책의 한계만 재확인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우리 경제체질을 강화해 원천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도 찾아야 한다. 노동개혁 입법의 속도를 높이고 부실기업은 빨리 솎아내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올리는 게 더욱 시급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