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의 메르스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혼잡한 응급실의 구조 개선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삼성서울병원이야 병원 내 넓은 부지가 있고 그룹 차원의 통 큰 지원이 있어 응급실 개선이 가능하지만 다른 병원들은 메르스 사태 때문에 줄어든 매출로 적자를 걱정해야 할 판이어서 응급실 개선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만난 대형 병원의 한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 후 재발을 막기 위한 후속 대책이 잘 시행되고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하며 걱정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지난 1일 입원 중이던 마지막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가 2차례의 검사에서 최종 음성판정을 받으면서 정부는 오는 29일 메르스 환자가 처음 발생한 5월20일 이후 160여일 만에 공식 종식 선언을 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선 대형 병원들의 경우 별다른 후속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메르스에 대한 경계심을 풀고 메르스 발생 전과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5일 기자가 둘러본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의 경우 마스크를 쓴 환자와 보호자들은 찾기 힘들었고 의료진조차 일부만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 메르스 유행 당시 병동 입구에 배치됐던 병문안 온 내방객의 인적사항을 적는 기록지 등도 찾아볼 수 없었다.
메르스 사태 이후 달라진 것은 메르스 2차 유행의 진원지였던 삼성서울병원이 응급실을 1인 구조로 바꾸고 응급실 외부에 별도의 호흡기진료소를 설치하는 한편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사태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후 의사 출신 복지부 장관이 새로 부임한 것 정도다.
메르스 사태에서도 증명됐듯이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형병원 응급실의 감염 관리 수준을 강화하는 것이 시급하다. 정부도 응급실 개편과 격리 병상 확충 등을 메르스 재발 방지 대책의 중요한 항목으로 내세우며 일선 병원에 대한 지원을 천명했다. 하지만 메르스 사태의 공식 종식 선언을 20여일 앞두고 있는 지금까지 구체적인 지원책은 나오지 않았다. 질병관리본부장을 차관급으로 격상시키는 정부조직법 개정안도 지난달 25일 국회에 제출됐지만 녹록지 않은 국회 상황으로 언제 통과될지 미지수다.
정부는 각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의료 관련 감염대책협의체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응급실 개편과 간병 구조 개선, 감염 관리 수가 신설 등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대책을 선정하고 이를 위한 법령 개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대통령이나 총리실 직속으로 각부 장관 등이 참여하는 국가 감염병대책위원회와 같은 강력한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감염내과 전문의들의 지적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이달 말께 메르스 종식이 선언되면 감염병에 대한 관심도 멀어지면서 관련 예산 확보도 힘들어질 것이 자명한 만큼 지금이 메르스 대책을 추진하기 위한 골든타임임을 명심해야 한다.
송대웅 사회부 차장 sdw@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