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권홍우의 오늘의 경제소사]10.26과 샤 팔레비



쿠데타와 근대화, 친미(親美), 독재와 부패. 팔레비 전 이란 국왕의 일생을 압축하는 단어들이다. 1919년 10월26일 출생 당시 신분은 장군의 아들. 부친 레자 칸 장군이 국왕 자리를 차지한 1925년 왕세자에 올라 22세 때인 1941년 영국의 도움으로 왕위를 물려받았다. 2차 대전 초기 독일편에 섰다 퇴위당한 부친 대신 왕좌에 앉았지만 그의 권력은 보잘것없었다.

절대권력을 갖게 된 것은 1953년. 중동에서 처음으로 석유 국유화를 단행한 모사데그 총리를 제거하기 위해 미국과 영국이 공모한 친위 쿠테타의 덕을 봤다. 선거로 뽑힌 이란 민족주의 정권이 예상보다 강한데다 외세에 의한 쿠테타에 저항하는 민중의 힘에 밀려 팔레비가 유럽으로 도망칠 무렵 미국과 영국은 이란 군부 전체를 움직여 팔레비에게 절대 권력을 안겨줬다.


당시 이란 정권 붕괴 공작인 ‘아작스 작전’을 주도한 미국 CIA의 책임자인 노먼 슈워츠코프(H Norman Schwarzkopf, Sr) 소장. 그가 대령 시절부터 교육시킨 이란 군대와 경찰들이 쿠테타의 주역을 맡았다. 미국이 이라크를 상대로 1991년 다국적군을 모아 진행한 1차 걸프전을 지휘한 노먼 슈워츠코프 미 육군대장이 같은 이름을 쓰는 그의 외아들이다.

비밀경찰 사바크를 통해 굳어진 독재권력을 팔레비는 근대화에 집중시켰다. 이란을 2000년까지 세계 5대 강국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백색혁명’은 성과가 적지 않았지만 국민적 저항을 불렀다. ‘이란 민족은 아랍족이 아니라 유럽인과 같은 아리안 인종’이라며 강행한 서구화 일변도 정책 탓이다. 종교계와 국민들의 반발은 1979년 회교혁명으로 이어져 팔레비 정권을 무너뜨렸다.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물가가 50%까지 치솟았던 경제난도 몰락을 재촉했다.


쏟아져 들어오는 오일달러에도 팔레비의 개혁이 실패한 것은 과도한 군비증강에 따른 방만한 재정에 화장실을 금으로 도배하는 사치와 부패가 겹쳤기 때문이다. 결국 호메이니의 회교 혁명으로 1978년 이란에서 쫓겨난 팔레비는 미국과 모로코ㆍ바하마ㆍ멕시코ㆍ파나마를 전전하며 복위를 꿈꾸다 1980년 이집트에서 췌장암으로 죽었다.

관련기사



팔레비 축출로 이란을 중동의 경찰로 내세우려던 미국도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한국에게는 판매를 거부했던 M-60 탱크는 물론 이스라엘에도 공급하지 않았던 F-14 전투기까지 넘겨주며 이란과 찰떡 궁합을 과시했으나 일시에 모든 것을 잃고 말았다. 이란의 반미감정도 거세졌다. 팔레비 시절 제공한 원자로는 핵개발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왔다.

한국도 팔레비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말년에 급속하게 가까워진 박정희 대통령과 팔레비가 번갈아가며 방문한 끝에 양국 합작의 정유회사가 생기고 개발 초입 단계이던 서울 강남의 중심로에는 ‘테헤란로’라는 이름이 붙었다. 역사의 아이러니라고나 할까. 박 대통령은 두 살 아래인 팔레비의 60세 생일인 1979년 10월26일 부하의 총에 맞아 숨졌다.

한국경제가 1978년 하반기 이후 1980년까지 고물가와 저성장 늪에 빠졌던 이유도 이란 정정 불안으로 촉발된 제 2차 석유 위기 탓이다. 한국에 사상 최초의 구조적 무역수지 흑자를 선사해 준 1980년대 중반의 저달러·저물가·저유가라는 3저 호황의 배경도 같은 곳에 있다. 이란의 회교 원리주의 혁명 전파를 두려워한 미국은 중동의 우호적 산유국을 설득해 국제유가를 끌어내린 덕에 한국은 호시절을 누렸다.

이란은 여전히 주목할만한 대상이다. 석유와 천연가스 같은 부존자원에 평균 연령 30세에 불과한 7,800만 인구에서 나오는 잠재력만으로도 그렇다. 팔레비보다 훨씬 이전, 모사데그 총리 세대부터 권장한 해외 유학 덕분에 과학기술 기초도 상대적으로 탄탄한 편이다.

미국과 유럽의 핵 제재에서 완전히 풀린 이란 경제가 어떻게 되살아날지, 팔레비가 남긴 빛과 그림자는 어떤 방향으로 변해갈지 궁금해진다. 예전의 인연이나 북핵을 머리에 이고 사는 입장에서 이란은 연구하고 가까이 다가갈만한 나라다./ 권홍우 논설위원 겸 선임기자 hongw@sed.co.kr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