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미래 내다보는 물 부족 대책 고민해야 할 때다

가을 수확철을 앞두고 전국이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1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의 누적 강수량은 754.3㎜로 30년 평균치인 평년(1,189㎜)의 63%에 그쳤다. 기상청의 가뭄 판단 수준(평년 80% 이하)을 간신히 넘긴 전남과 경남을 제외하면 다른 지역의 가뭄은 더욱 심각하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의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43%에 그쳤고 충남·강원·충북 등 3개 도는 평년의 50%대 초반밖에 되지 않았다. 특히 피해가 심각한 보령·홍성 등 충남 서부 8개 시군이 8일부터 격일제 단수와 상수도 감압 등 제한급수에 들어가기로 했다고 한다.

올봄 파종기부터 시작된 가뭄이 가을 수확철까지 이어지는 근본 원인은 강수량이 집중되는 6~9월에 마른장마와 대부분의 태풍이 한반도를 비켜가면서 강수량이 절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이다. 가뭄상황이 개선될 가능성도 적다. 올겨울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체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해갈을 기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최소한 내년 봄이 돼야 어느 정도 강수량을 기대할 수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내년 장마까지 가뭄피해가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까지 나온다.

문제는 가뭄피해 지역이 상당히 광범위한데도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이 보이지 않거나 있더라도 뒷북 수준이라는 점이다. 4대강 사업으로 설치된 16개 보의 저수율이 100% 안팎이지만 관로가 없어 이웃 농경지의 해갈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기껏 지난달 24일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보령댐 상류와 백제보를 잇는 첫 관로 건설이 결정됐으나 내년 2월이나 돼야 공사가 마무리된다. 전국 농업지구 20곳에 1억톤가량의 용수를 공급하는 농림축산식품부의 계획도 사전타당성 조사가 진행될 뿐이다.

우리는 2012년부터 매년 가뭄피해를 겪어왔다. '2014 한국 기후환경 보고서'에 따르면 가뭄이 장기화·상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땜질식 대응이 아니라 중앙정부 차원의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 전 국민의 절수 캠페인으로 위기의식부터 일깨워야 한다. 동시에 생활하수 리사이클은 물론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해수담수화 설비 인프라까지 담은 국가 차원의 치수정책을 마련할 때다. 예나 지금이나 치수는 국가의 근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