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노벨화학상 'DNA 수정 연구' 린달·모드리치·산자르

암 치료제 개발에 살아있는 세포 사용될 수 있다는 점 밝혀

올해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로 스웨덴의 토마스 린달(77), 미국의 폴 모드리치(69), 아지즈 산자르(69) 등 3명이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DNA 수정연구 분야에 공헌한 스웨덴 출신으로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의 린달, 미국 듀크대의 모드리치, 터키계 미국인으로 노스캐롤라이나대 소속인 산자르를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이 "세포가 손상된 DNA를 복구하고 유전적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는 사실을 분자 크기 수준까지 그려냈다"며 "무엇보다 이들의 연구는 살아 있는 세포의 기능과 새로운 암 치료제 개발에 살아 있는 세포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렸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지난 1970년 세 명의 수상자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DNA의 염기서열 형태·정보를 복구하는 프로세서가 생체 내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통한 유전자 질환 치료법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체세포 분열 때 DNA는 분열·복제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정보가 손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암 등의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린달은 이날 수상 발표 후 "매우 놀라운 소식"이라며 "종종 후보로는 올랐지만 수백명이 후보로 오르는 만큼 수상자로 선정된 것은 매우 운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며 선택된 것에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소감을 밝혔다. 린달의 수상으로 스웨덴은 29번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국가가 됐다.

린달은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의 명예교수이자 클레어 연구소 암연구소 명예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모드리치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더햄의 듀크대 의대 교수이자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교수로 일하고 있다. 터키 이스탄불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산자르도 현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노벨상 상금은 800만크로나(한화 약 11억2,000만원)이며 수상자 3명은 상금을 나눠 갖게 된다. 시상식은 창시자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10일 스웨덴 스톡홀름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다.

한편 노벨 화학상은 노벨상이 만들어진 1901년 이후 총 106차례에 걸쳐 시상됐으며 영국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는 유일하게 화학상을 두 번 수상한 인물로 기록됐다.



관련기사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