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누가 그 많은 특위를 챙기나









여의도의 가을에는 말이 아니라 당조직에도 살이 오른다. 최근 새누리당에는 특별위원회와 태스크포스(TF)들이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 9월에만 3개기구(경제상황점검TF·국가간병제도특별위원회·나눔경제특별위원회)를 신설했다. 여기에 더해 10월에 접어든 지 채 열흘이 지나지 않아 '역사교과서개선특위'가 당내에 자리를 잡았다. 아직 활동 중인 노동시장선진화특별위원회·핀테크특별위원회·민생119본부를 포함하면 새누리당이 지금 가동하고 있는 특별기구의 수는 7개에 달한다. 공천룰을 다루기 위해 준비 중인 특별기구까지 고려할 경우 특별기구 위원장과 위원이라는 감투를 쓰고 있는 새누리당 내 의원들의 수는 수십명을 헤아리게 된다.

총선을 앞두고 특위가 쏟아져나오는 까닭은 당과 의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서다. 당으로서는 선거 이슈 선점과 당 홍보에 특위가 효율적이고 의원 본인에게도 특위 위원이라는 경력 한 줄을 더 채워넣을 수 있어 이롭다. 7일 첫 번째 회의를 치른 나눔특위가 대표적이다. 정치권에서는 진보진영이 주도해온 사회적 경제와 공유경제라는 이슈를 새누리당이 선점하려는 의지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특위에 참여한 의원들의 면면에서도 정미경(수원시을)·김명연(안산시단원구갑)·박대동(울산북구) 등 서민층이 다수 분포한 지역을 선거구로 둔 의원들이 많이 보인다.

특위가 아무리 많다고 하더라도 제대로 굴러가기만 하면 문제가 안 되겠지만 특위가 흐지부지 운영될 조짐이 벌써부터 나타나는 상황이다. 핀테크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서상기 의원은 지난달 27일 특위 전체회의에서 "(지역구) 행사 때문에 대전에 내려가야 해서 전하진 의원에게 위원장 이야기도 맡기고 가겠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이날 회의에서 아침 식사를 마친 후 곧장 자리를 떴다. 경제상황점검 TF 소속 류성걸 의원 역시 8일 회의에 불참했다. 지난 3차 회의에 이은 연속 결석이었다.

류 의원실 관계자는 "류 의원이 오전부터 타운홀 미팅 등 (지역구) 행사에 참석해야 했다"는 해명을 내놓았다. 이날 TF에는 김종훈 의원 역시 불참했다. 김 의원실의 한 관계자는 "김 의원이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했다"고 했지만 이날 최고위원회의에도 김 의원은 참석하지 않았다.

/정치부=전경석기자 kadak@sed.co.kr


관련기사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