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법정관리 위기 몰린 삼안

모그룹 프라임 '몽니'… 채권단은 '수수방관'


한때 설계·감리 업계 1위였던 건설 엔지니어링 기업 삼안이 모그룹인 프라임그룹의 '몽니'와 채권단의 '수수방관' 속에 법정관리에 몰릴 위기에 처했다.

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대아티아이는 지난 16일 매각 주관사인 NH투자은행 측에 "삼안에 대한 인수작업을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겠다"고 최종 통보했다. 앞서 대아티아이는 지난 9월 삼안 인수를 위한 본계약 체결 단계까지 갔으나 체결 직전 삼안의 모회사인 프라임그룹 측이 계약조항 추가 등을 요구하면서 인수작업이 차일피일 미뤄져왔다.

대아티아이의 인수 의지가 강해 성사 가능성이 컸던 이번 매각마저 '물거품'이 되면서 삼안은 결국 법정관리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프라임 측은 대아티아이와의 협상 결렬 이후 최근 삼안에 대한 '공개 매각' 카드를 꺼내 들었으나 현실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거래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올해 말이면 기업개선절차(워크아웃) 기한이 만료되는데다 모기업인 프라임그룹에 빌려준 1,200억원의 채무가 연말 대손처리될 것으로 예상돼 자본잠식이 불가피하다"며 "결국 올해 안에 매각을 통한 자본확충이 절실한 상황인데 현실적으로 연말까지 매각공고-의향서 접수-실사-입찰-계약 등의 절차를 밟는다는 게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지난 2011년 이후 4년간 이어져온 삼안 워크아웃 작업이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결과로 치닫자 프라임그룹과 채권단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 역시 커지고 있다. 프라임 측은 계약 막판에 이르러 인수자 측에 삼안에 대한 차입금 1,200억원에 대한 추후 청구를 금지하는 무리한 조항을 요구하는 등 매각작업을 방해해왔다는 게 이 딜을 잘 알고 있는 관계자의 전언이다. 또 NH농협은행 등 채권단은 삼안 주식 100%에 대한 주식처분 권한을 강하게 행사하지 않은 채 '수수방관'했다. NH농협은행 측은 "프라임그룹이 일부 삼안 주주의 주식매매 의결권 위임을 계약 막판에 철회하는 등 고의적인 시간 끌기 작업에 나서 현실적인 제약이 많았다"고 해명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이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에 보장된 권한을 행사해 제3자를 삼안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뚝심 있게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면 거래 완료까지 다소 시일이 걸려도 이런 식으로 매각 자체가 무산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주채권은행이 무려 4년 동안 구조조정의 중심을 못 잡는 사이 900명에 달하는 우량 기업의 임직원들만 거리에 내몰리게 생겼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박준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