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퇴직자 창업 활성화, 민관 협력 필요하다

김윤환 토즈 대표

토즈_김윤환 대표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할수록 이들의 재취업 및 사회 재진출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퇴직자 창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서울시는 40세 이상 퇴직자들이 안정적으로 창업할 수 있도록 장년창업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문가와 함께하는 창업 코칭 프로그램 외 다양한 창업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예비 창업자에게 무료로 창업 준비 공간과 장비를 제공하는 '충북시니어창업기술센터'도 중장년 창업 활성화의 일환이다.

퇴직자 창업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은 민간기업에서도 활발하다. 현대카드는 퇴직 직원 중 창업을 꿈꾸는 사람에게 창업 상담과 교육, 입지 컨설팅, 오픈 후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창업을 지원해주는 'CEO 플랜'을 제공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계 또한 예비 창업자들의 비용 부담을 줄이자는 취지로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퇴직자의 경제 상황에 맞춰 투자 비용 중 일부를 본사와 나눠 부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필자가 속한 토즈 또한 두 가지 투자방식의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평형 등과 상관없이 표준 지점 개설 금액 중 1억원만 투자하면 토즈 스터디센터를 개설할 수 있는 '금액 확정형' 수익 분배 방식은 전체 수익 중 투자 금액에 해당하는 비율의 수익을 얻게 되는 형식이다. '지분 확정형'은 표준 지점 개설 금액의 40%를 투자하면 전체 수익의 50%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 투자 금액에 따라 수익이 가능하다.

이처럼 정부 및 지자체·민간기업이 협력해 퇴직자 창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창업을 희망하는 중장년층이 자금 문제로 인한 창업 고민과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부·지자체와 민간기업들은 퇴직자들이 실패 부담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창업할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하고 사회적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병행해나가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