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A등급으로 제한 회사채펀드에 BBB등급 편입 적극 유도한다

펀드 등급 '평균'으로 매겨

국민연금·신협 등 참여케

시장 악화 땐 '회사채신속인수제' 부활 검토

하이일드펀드 투자 기관에 세제혜택 부여 방안도 추진

회사채시장의 경색을 풀기 위해 금융당국이 회사채펀드의 신용등급을 '평균'으로 매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펀드에 넣는 개별 회사채에 대해 각각 신용등급을 평가하다 보니 회사채 투자범위가 A등급에만 제한되는 데 따른 조치다. 여러 등급의 회사채를 한 펀드에 담고 펀드에 대표로 신용등급을 매기면 낮은 등급과 높은 등급의 회사채가 함께 투자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융당국은 회사채시장의 큰손인 국민연금과 신협중앙회 등 공적 기관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이 같은 제도를 활용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이 이들의 내부투자 기준을 직접 바꿀 수는 없는 만큼 이들이 투자하는 회사채 펀드의 기준을 완화해 투자폭을 넓힌다는 복안이다.

4일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회사채펀드에 편입하는 회사채는 모두 A등급 이상으로 제한하는 현행 제도에서 펀드 전체를 A등급으로 제한하면 AA등급과 비우량등급인 BBB등급 회사채가 함께 펀드에 들어올 수 있다"며 "다양한 등급의 회사채를 담고 펀드의 규모를 키우면 위험을 줄이면서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고 도입 취지를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이달 말 회사채시장 안정방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현재 회사채펀드를 운용하는 대부분의 자산운용사는 자체 규정으로 비우량에 해당하는 BBB-등급 이하 회사채의 펀드 편입을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회사채시장이 휘청이면서 우량등급에 속하는 A등급도 투자를 꺼리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회사채펀드마다 엇비슷한 구색으로 AAA~AA등급 회사채가 편입된다. 펀드 전문가에게 높은 수수료를 줘가며 투자를 맡기지만 정작 수익률은 1~2%에 불과한 안전자산에만 투자하는 셈이다.

이 같은 분위기는 투자자들도 마찬가지다. 은행·보험사는 물론 연기금들은 과거 BB+등급까지 투자 가능했지만 지난 2000년 현대그룹과 하이닉스의 유동성 위기를 차례로 겪으며 내부 기준을 BB+, A-, AA- 등으로 높여왔고 그 수준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현재 국민연금이 투자한 펀드 대부분은 AA등급 이상 회사채에 투자하고 있다. 신협중앙회 역시 자체 판단에 따라 AA등급 이상 회사채만 매수한다.

당국은 회사채펀드의 신용등급을 평균으로 매기면 국민연금이나 신협중앙회·교직원공제회 등 기관투자가의 회사채 투자폭이 BBB등급까지 넓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들 자금은 규모가 크기 때문에 위험을 감수할 여력이 있지만 수익성을 높이고자 자산운용사에 맡긴 펀드 투자 역시 회사채별로 등급을 매겨 회사채 투자가 안전자산에만 치중됐다.

정부는 총자산의 30% 이상을 신용등급 BBB+ 이하 채권에 투자하는 하이일드펀드에 대해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방안 등 회사채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추가 대책도 고민하고 있다. 현재 하이일드펀드는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가입금액 5,000만원까지 분리 과세하나 너무 낮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회사채시장이 더욱 악화할 경우 금융당국은 2000년과 2013년 한시적으로 운영한 회사채신속인수제(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 증권·P-CBO)를 활용하는 대안도 조심스럽게 거론하고 있다.

회사채신속인수제는 팔리지 않은 회사채를 산업은행이 우선 인수한 후 우량 회사채와 섞고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더해 시장에 파는 방식이다. 금융당국은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시장안정회사채신속인수제를 운영했다. 올해도 회사채시장이 경색되면 이를 연장하거나 새로 도입하겠다는 게 당국의 구상이다.

/임세원·조민규기자 why@sed.co.kr


관련기사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