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IMF, "환시장 개입·자본규제" 신흥국에 권고

국제통화기금(IMF)이 신흥국은 통화가치 상승에 따른 성장둔화를 막기 위해 외환시장 개입과 자본 규제를 유력한 정책수단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는 수출증가를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국가를 강력히 비판하는 미국과는 정반대 입장으로 향후 국제사회가 어떤 합의점을 찾을지 주목된다.

3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전미경제학회(AEA) 연례총회에서 구스타보 애들러 등 IMF 이코노미스트 2명은 올리비에 블랑샤르 피터슨연구소 선임 연구위원(전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과 공동 발표한 '외환시장 개입이 환율 압력을 막을 수 있는가'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2000년 이후 19개 신흥국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규모 외국인 자본유입은 신흥국의 자산 거품과 경기과열, 환율상승, 금융 불안정성 증가 등의 부작용을 초래했다"며 "대규모 외환시장 개입은 통화가치 상승 압력을 줄이는 데 유용한 정책도구였다"고 말했다.

특히 조너선 오스트리 등 IMF 이코노미스트들은 4일 열리는 또 다른 세션에서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 하락에 따른 가계 구매력 상승 등으로) 국민소득은 늘지만 무역 부문이 충격을 받는다"며 구체적으로 외환시장 개입과 자본 규제, 기준금리 등 3대 대응수단을 제시할 방침이다. /샌프란시스코=최형욱특파원 choihuk@sed.co.kr


관련기사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